소득 ‘쥐꼬리’만큼 늘면서 월세 전환 증가로 주거비 부담 갈수록 늘어나…작년 역대 최고치

p1.jpg
▲ 사진=작년 역대 최고치, 연합뉴스
작년 역대 최고치.

작년 소득은 ‘쥐꼬리’만큼 늘어 자연스럽게 월세로 전환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가계의 주거비 지출 액수와 증가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실제 주거비(월세 기준)는 월평균 7만4천227원으로 1년 새 20.8% 늘어 지난 2003년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가계 주거비는 지난 2013년 7.0%, 지난 2014년 4.0% 등의 증가율을 보이다 지난해 갑자기 대폭 늘었다.

평균 주거비 인상은 그만큼 월세로 전환한 가구들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가계가 실제로 지출하는 월세는 통계치보다 훨씬 많다.

집을 갖고 있거나 전세로 사는 가구는 주거비 지출이 0원으로 집계돼 자가와 전·월세가 모두 포함된 모든 가구의 평균 주거비는 낮아지는 ‘착시 현상’도 발생된다.

월세 가구가 늘면 실제 주거비도 증가한다.

실제로 지난해 전·월세거래량 가운데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4.2%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11년 33.0%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는 전세 거래량이 82만1천건으로 5.1% 감소한 반면, 월세 거래량은 65만건으로 8.3% 증가했다.

고소득층의 월세 전환도 두드러졌다.

소득 6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주거비는 지난해 7만6천402원으로 지난 2014년보다 42.9% 늘었다.

주거비 부담은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키고, 경제성장률도 낮출 수 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