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의 늪 허덕… 인천항 보안 ‘錢錢긍긍’

인천항보안공사, 경영악화 갈수록 심각… 자본잠식 누적 
장비확충 등 들어갈 돈 많은데… 해를 거듭할수록 ‘마이너스 행진’
올해부터 경비료 요율 단계적 인상 불구 ‘만성 재정난’ 극복 한계

인천항보안공사(IPS)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어 인천항 보안 강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29일 IPS 자본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3년부터 자본잠식 상태다. 2013년 -3억 200만 원, 2014년 -12억 8천만 원 등 자본잠식이 누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사 측은 올해부터 인천항 하역사 등으로부터 받는 경비료 요율을 5% 인상하는 등 단계적으로 경비료를 늘리기로 했으나, 적자구조를 개선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IPS의 모기업인 인천항만공사(IPA)가 적자 분을 보전해주고 있으나 해마다 예산지원액 규모가 늘고 있다. 올해는 105억 원 상당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속적으로 보안인력이나 보안장비 확충 등 보안 관련 투자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인력을 보강하더라도 매년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보안장비를 개선하려면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항(사설부두 포함)의 CCTV 등 보안장비를 24시간 가동하려면 네트워크망과 서버 등을 늘려야 한다. CCTV의 용량이 초과할 경우 감시장비가 일시적으로 먹통이 되거나 실시간으로 감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우선 급한 대로 IPA가 나서 보안강화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IPA는 1차적인 보안강화 비용으로 20억~40억 원이 추가 투입될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경정 예산 등에 반영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보강인력 규모나 장비 등은 빠르면 3월 초에 확정될 예정이다.

 

그러나 IPS가 늘어나는 인건비와 장비 보수·유지비용 등을 감당하려면 경비료 요율을 올리거나 IPA 예산지원에 기대는 수밖에 없는데 현재로서는 양쪽 모두 쉽지가 않다. 이미 경비료 요율 인상 폭을 정했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요율을 더 올리기는 어렵다. 하역사 등 관련업체의 반대가 크고 해양수산부도 경비료 인상에는 부정적이다.

 

IPA도 예산지원 규모를 더 늘리기는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IPA도 대규모 건설사업 투자로 차입규모가 늘고 있고, 금융비용 증가, 영업이익 하락 등 경영전망이 밝지 않은 탓이다.

 

IPA 측 관계자는 “정부 방침이 항만 보안을 지역 항만공사가 책임지도록 했지만, 하나의 기업 차원에서 지속 가능한 보안구조를 만들기는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IPS 경비체계 등을 재점검해 가장 효율적인 보안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