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주택담보대출 강화 등 주택시장 안팎 경제여건이 불안해지면서 실수요자들 사이에 퍼진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주택거래량은 5만9천265건으로, 전년동월(7만8천864건) 대비 24.9% 감소했다.
최근 5년 평균(6만8천건)과 비교해도 12.2% 가량 줄어든 수치다. 2월까지 누적된 주택거래량은 12만1천630건으로 작년보다 23.1% 적었다.
2월 주택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9천910건)을 포함한 수도권이 2만8천84건, 지방은 3만1천181건으로 작년과 비교해 각각 25.1%, 24.1%감소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작년보다 34.0% 줄어든 3만8천225건, 연립ㆍ다세대주택의 거래량은 1.4% 감소한 1만1천830건이었다. 특히 아파트는 2월까지 누적된 거래량이 7만7천920건으로 작년 대비 32.4% 감소했다.
전국 주요단지 실거래가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단지와 수도권 일반단지를 중심으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남 개포 시영 28.79㎡는 1월 5억2천만원에 거래됐다가 2월 들어 실거래가가 5억1천700만원으로 떨어졌다.
경기지역에선 안양 한가람세경 49.68㎡가 실거래가가 2억6천500만원에서 2억5천500만원으로 떨어졌고, 지방에서는 대구 수성 황금캐슬골드파크 84.97㎡가 5억500만원이 4억8천만원으로 내려갔다.
이달 처음으로 공개된 분양권 전매건수는 2월이 9천726건으로, 전달인 1월(1만2천42건)에 견줘 19.2% 감소했다. 분양권 전매건수가 줄어든 것은 지방의 분양권 전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방에서는 7천28건의 분양권 전매가 이뤄져 전월(9천389건)보다 25.1% 줄었다.
수도권에서는 2천698건의 분양권 전매가 이뤄져 전월보다 오히려 1.7%늘어났다. 서울에서 608건, 경기에서 1천848건이 거래돼 각각 35.4%, 5.4% 증가했다. 반면 인천은 분양권 전매가 전월에 견줘 46.3% 감소한 242건이었다.
2월 분양권 검인건수는 1만9천55건으로 1월(2만4천658건)보다 19.2% 줄었다. 분양권 검인은 최초 분양계약을 원인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때 소재지를 담당하는 시ㆍ군ㆍ구청장에게 확인받는 것을 말한다.
주택거래량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감정원의 부동산통계시스템 홈페이지(www.r-one.co.kr)나 부동산시장정보 애플리케이션 또는 국토부 실거래가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