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빼든 부평구… 굴포천 물고기 떼죽음 ‘악순환 고리’ 끊을까

민·관 합동대책회의 구성 착수 정확한 원인규명·재발방지 나서
굴포천 상류 생태 하천사업 등 중장기적 환경복원도 병행 추진

인천 부평구가 굴포천 물고기 집단 폐사(본보 2월 22일 자 7면)의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전면 조사와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기형 부구청장은 16일 “조만간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어 굴포천 물고기 집단 폐사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합동 대책회의에는 부평구와 인천시뿐만 아니라 학계 및 생태 전문가,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 부평의제21과 환경단체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 2008년부터 꾸준히 발생하는 물고기 집단 폐사의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근본 대책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구는 지난달 발생한 물고기 집단 폐사 원인으로 하수 차집관로가 역류해 생활하수가 유입됐거나, 도로 위 오염물질이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 하천의 용존 산소량이 일시적으로 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는 비가 온 다음 날 하수 찌꺼기를 비롯한 오염물질을 희석시킬 수 있게 하천 유지용수 용량을 늘려 줄 것을 시에 요청했다.

또 하천 준설작업과 더불어 곳곳에 물레방아나 분수대 등을 설치해 용존 산소량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굴포천 상류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추진해 상류구간의 오염을 줄여 수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그러나 현장조사 등 폐사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밝혀내야 올바른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고기 집단 폐사는 지난 2008년, 2010년, 2013년에도 발생했다. 하지만 구는 2013년 이전에 일어난 사건은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굴포천을 생태하천으로 만든다고 해놓고 정작 굴포천에 사는 물고기 집단 폐사 원인 규명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일자 구는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3곳에 시료 채취와 부검, 질병 여부 검사 등을 의뢰했다. 검사 결과 독성물질이나 농약 성분, 질병, 바이러스 등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김 부구청장은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면서 전문가에게 물고기 폐사 원인 분석도 함께 의뢰하겠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