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중소 인쇄업계 “경기도청 발간실 때문에 고사위기”

도내 인쇄기업 76% 매출감소… ‘발간실 폐지’ 대정부 건의키로

경기지역 중소 인쇄업계가 경기도청 발간실의 축소 또는 폐지를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경기도청 발간실이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면서 관공서 수주가 막힌 인쇄업계가 고사 위기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와 경기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등에 따르면 중기중앙회가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자체발간실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한 결과, 총 11개 지자체(65%)에서 자체 발간실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곳은 경기도청 발간실이다. 경기도의 자체 발간금액은 최근 3년간 평균 12억2천863만원으로, 지자체 총 자체 발간금액의 32.3%(연 38억원)을 차지했다.

 

발간실 직원 수 또한 평균 10.3명으로 2위인 전북(6.3명)보다 40% 가량 많은 수준이다. 특히 경기도는 전체 인쇄발간물의 78.5%를 자체 제작하고, 나머지는 모두 장애인ㆍ보훈단체에만 외주를 줘 지역 인쇄기업들은 사실상 경기도 관련 인쇄물의 수주를 전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내 인쇄기업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해 12월 중기중앙회가 ‘인쇄업계 경영상황’에 대해 조사 결과에서도 도내 인쇄기업 76.7%는 매출 감소를 겪을 정도로 위기에 몰린 상황으로, 이들은 중소기업을 보호해야 할 경기도가 영세한 인쇄업체의 고사에 앞장서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업계는 발간실 운영의 취지인 ‘예산 절감’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최근 3년간 경기도의 자체발간 누계금액을 ‘직접 인쇄비’(종이ㆍ카트리지 구입비 등)와 ‘간접 인쇄비’(인건비ㆍ장비수리비 등)로 구분했을 때 간접 인쇄비의 비중(19억1천342만원)이 직접 인쇄비(17억7천247만원)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완표 경기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예산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면서 중소 인쇄 기업인들의 사기까지 꺾는 경기도청 발간실에 대한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경기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은 발간실 폐지를 위한 대정부 건의 및 단체행동 등에 나서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당장 발간실을 폐지하기는 어렵겠지만 점진적으로 규모를 축소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도내 영세 인쇄업계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