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내 경기지역 지자체 13곳서 아파트 전세가율 80% 넘어설 듯

올해안으로 경기지역 지자체 13곳에서 아파트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는 미분양 증가와 주택담보대출 심사강화 등의 영향으로 매매시장이 빠르게 위축되면서 수요가 전세시장에 몰려 전셋값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부동산114가 최근 1년 월평균 전세가율 증감률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의 평균 전세가율(3월25일 기준)은 77%로 집계됐다. 도내 31개 지자체 가운데 군포시(84.2%)와 의왕시(82.5%), 안양시(81.3%) 등 3곳은 이미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다. 

또 고양시(79.7%), 파주시(79.0%), 용인시(78.9%), 의정부시(78.4%), 구리시(78.7%), 부천시(77.6%), 오산시(78.3%), 김포시(74.9%), 광명시(77.2%), 남양주시(75.9%) 등 10개 지자체에서도 올해 안에 전세가율이 80%에 도달할 것으로 부동산114는 분석했다. 특히 파주시의 경우 지난해 3월(66.1%) 대비 전세가율이 13% 가량 급상승하기도 했다.

 

이처럼 매매가 대비 전셋값을 나타내는 지표인 전세가율이 크게 높아진 것은 주택담보대출 심사강화 등 주택시장에 부정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면서 매매 대신 전세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서울의 전세난을 피해 경기지역으로 이동하는 전세민 증가와 봄 이사철까지 겹쳐 전세물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는 것도 원인 중에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전세가율이 빠르게 치솟으면서 전세보증금을 제대로 돌려 받을 수 없는 ‘깡통전세’가 양산돼 서민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수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실수요자들이 매매에 나서기 보다는 좀 더 주택시장을 지켜보겠다는 관망세를 보이면서 전세를 택해 전세난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이같은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발생할 수 있는 깡통전세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입주민들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