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사격장 산불’ 불려가는 헬기… 道·산림청 불만

초동조치없이 파견 요구로 업무가중… “軍 진화체계 의심스럽다”
육군 “피탄·불발탄 폭발 위험지역, 병사들 안전위해 요청 불가피”

육군이 군 사격장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산림청과 경기도에 수시로 헬기 파견을 요구하면서, 도와 산림청이 업무가중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경미한 사안임에도 군이 헬기 파견을 요구하자 “군의 산불 진화체계가 의심스럽다”며 강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31일 육군과 산림청, 도에 따르면 봄철 산불 취약기를 맞아 산림청과 도는 대형 산불 예방을 위해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특히 도내에서 산불이 올해에만(3월25일 기준) 300여건 발생한데다 4월 고온건조한 날씨가 전망되면서, 지난 20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 ‘대형 산불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했다. 이어 도내 곳곳에 산림청 소속 헬기 13대(김포공항 5대, 원주(경기동부) 4대, 진천(경기남부) 4대)와 시·군별로 임차 헬기 20대를 배치해 상시 출동태세를 갖추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군 사격장에서 발생한 산불을 군이 자체적으로 진화하지 않고 산림청과 도에 산불 진화를 요구하는 일이 자주 발생, 산림청과 도가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총 비행시간이 1시간도 안되는 경미한 화재시까지 군부대가 무분별하게 진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올해 경기지역 군 사격장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20건(3월25일 기준)으로, 총 55만9천900㎡의 면적이 소실됐다.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양평 12곳이며, 이어 파주 4곳, 포천 2곳, 화성과 화천 각각 1곳이다. 특히 3월에만 16건(80%)의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부대의 까다로운 통관절차도 문제가 되고 있다. 파주시의 경우 헬기를 군 사격장의 화재 현장에 보내고도, 통관절차를 기다리느라 헬기가 상공에서 오랜시간 머물러야 하는 등 효율성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것.

 

도 관계자는 “군이 매번 사격 훈련 과정에서 발생한 불을 지자체에 요청해 업무량이 심각할 정도다”라며 “군이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군이 자체적으로 헬기를 가지고고 있는데도 초동 조치 없이 산림청과 지자체에만 의존하는 게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육군은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에 따라 산불진화 매뉴얼 등을 만들어 운용하지만, 피탄 지역 또는 불발탄 폭발 위험이 있는 지역에는 군인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병력이 들어갈 수 없어 산림청과 도에 요청할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격 과정에서 불발탄 또는 출입이 통제되는 구역에 불이 붙게 되면 자체 진화가 어려워 산림청 또는 민간 헬기 투입을 요청해 진화하는 것”이라며 “군 헬기를 산불 진화에 투입할 수 있지만 작전상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