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앞두고… 경기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쓴소리' 이어져

4ㆍ13 총선이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기지역 중소기업ㆍ소상공인 업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마련을 적극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정치가 안정돼야 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며 정치권에 대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중기중앙회를 비롯한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최근 여야 지도부를 만나 중소기업 경기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의 해결이 필요한 과제와 업종ㆍ단체별, 지역별 과제로 구분한 172개의 ‘중소기업 활력 회복을 위한 정책과제’를 건의했다.

 

경기지역에서는 포천양문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증설, 경기지방조달청 신설, 수원산업단지 관리권자 일원화,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지역 밀착형 과제 12개가 포함됐다.

조진형 중기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은 “현재 구조에서 시장의 자율성만으로는 경제 회복이 어렵다고 판단된다”면서 “우리 경제의 핵심인 경기지역에 중소기업인 및 소상공인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국회가 역할을 수행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업계는 경제 회복과 중소기업ㆍ소상공인을 위해 추진돼야 할 다양한 정책을 제언했다. 김금자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기지회장은 “그간 남성 위주로 경제가 성장해 왔다면 이제는 더 큰 도약을 위해 여성들의 강점을 끌어낼 때”라며 “공공구매, 창업, 연구개발, 시장개척 등에 여성기업 지원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희준 중소기업융합 경기연합회장은 “납품업체만 죽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현재의 기업회생 제도를 손질하고 부처별 중복 규제를 해소하는데 정치권이 나서달라”고 요구했으며 봉필규 경기도상인연합회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자금뿐 아니라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현행 공공기관의 소상공인제품 우선구매 제도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선거를 앞둔 정치권에 각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선거 때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살리겠다고 하지만 구호에만 그쳐 진정성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희준 회장은 “여야의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보면 중소기업 현장을 대변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면서 “중소기업을 살리겠다고 하면서 인력 미스매치 등 당면 과제를 해결할 구체적인 공약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봉필규 회장 또한 “경기도내 대형마트와 백화점 수가 서울의 두 배에 달하는데 그동안 지역 정치권이 무엇을 해 왔는지 모르겠다”면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은 경기 불황으로 죽겠다고 하소연한다. 소상공인을 살리겠다는 말이 구호가 아니라 진심이라는 것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