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후보, 해경 이전·수도권매립지 등 현안 ‘외면’

20대 총선에 출마한 인천지역 후보자 중 일부가 지역 현안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비판이 일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가 보낸 현안 질의서에 일부 후보가 답변을 거부하거나 응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6 총선넷 인천유권자위원회는 6일 총선 출마 인천 후보자 43명에게 ‘시민들이 뽑은 베스트 정책’ 질의 답변 결과를 공개했다.

 

시민이 뽑은 베스트 정책은 인천 현안을 비롯해 경제민주화·복지 및 교육·정치 개혁·평화통일 등 5대 분야 30개 과제다. 이중 지역 현안에 대해 정당별·후보별로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해양경비안전본부 인천 존치’에 대해 대부분 찬성했지만, 새누리당 후보 13명 중 정유섭·황우여 후보는 답변 거부, 윤형선·김정심·문대성·조전혁·이학재·배준영 후보와 무소속 윤상현 후보는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또 오성규·민경욱 후보는 부분 수용을 택했다.

 

해경본부 인천 존치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가 내놓은 ‘해경본부 인천 존치 관련 답변서’에서도 여야 차이가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민중연합당을 비롯해 무소속 안상수·조진형·안생준 후보는 이전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반면 새누리당과 윤상현 후보는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수도권매립지 연장 문제를 놓고도 의견 차이가 두드러졌다. ‘수도권매립지 연장 4자 합의 무효’와 ‘매립지공사 인천시 이관을 반대하느냐’는 질의에 새누리당 후보와 국민의당 일부 후보는 부분 수용 또는 미수용을 택했다. 매립지가 있는 새누리당 이학재 후보는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일부 무소속·여당 후보들이 시급한 지역 현안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남은 선거기간 동안 후보 간 공방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해경본부 세종시 이전이 야기할 국가 안위와 시민안전, 해양주권 수호라는 현실적 현안을 외면하고 있다”며 “새누리당 인천시당과 후보들은 이제라도 책임을 다하고 시민의 질문에 성실히 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유권자위원회 관계자도 “정책 질의서 답변 결과를 공개해 유권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