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주의 조장, 유권자가 엄중히 심판해야

4·13총선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내일 밤 12시면 그동안 정당과 후보자들 간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선거운동도 종료되고 이제 유권자의 엄중하고 신성한 투표권 행사만 남았다. 역대 선거 중 최악의 공천 파동으로 정치에 실망하여 투표하지 않겠다는 유권자들이 많아 투표율 저하가 염려되고 있다.

현재 언론과 여론조사기관에 따르면 상당수 지역에서 여야 후보 간 초박빙을 이루고 있어 선거 결과 예측이 쉽지 않은 것 같다. 특히 각 정당이 특정 정당의 지지기반이라고 믿던 지역에서 공천 파동으로 인하여 과거와는 다른 투표 성향이 나타나고 있거나 또는 지지할 후보자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 유권자가 무려 20~30%에 달하고 있어 선거운동 막판에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어떤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역대 선거운동과정을 보더라도 선거가 초박빙이고 혼전인 상황에서 정당과 후보자들은 지지 세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적인 공약이나 행동을 하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앞으로 남은 이틀 동안 선거 판세를 유리하게 조성하려는 예측 불가능의 선거운동이 우려된다. 때문에 중앙선관위는 물론 검찰, 경찰 등 관련기관은 후보자와 정당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선거에 있어 고질적인 병폐인 지역주의를 선거 막판에 조장하는 사례가 많았다. 최근 이런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바 이런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유권자들은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일부 정당 대표들과 후보자가 유세과정에서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내용의 발언을 한 것은 참으로 잘못된 것이다.

정치인들은 한국정치발전에 지역패권주의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선거 때만 되면 선거운동 막판에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언행을 함으로써 문제가 되고 있다. 특정 정당이 특정지역을 홀대하고 있다느니 등등의 근거 없는 언행을 통해 표심을 자극하는 정당과 후보자에게 유권자들은 투표를 통해 엄중한 심판을 해야 할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또한 경계해야 할 것은 소지역주의이다. 헌재의 판결로 일부 지역은 여러 시·군이 합쳐 선거구가 획정됨으로써 정책이나 인물에 관계없이 무조건 우리 지역 출신을 지지해야 한다는 소지역주의적 투표 성향이 나타나고 있음은 바람직하지 않다. 국회의원은 지역대표이기도 하지만 독립된 국가기관이기 때문에 지역문제보다는 국가문제에 우선해야 할 책무가 있음을 유권자가 인식해서 투표를 해야 한다.

후보자 공천이 잘못되었다고 또는 정치인은 꼴도 보기 싫다고 비판하면서 투표에 기권하면 결국 그 피해는 유권자에 돌아온다. 선거결과의 최종 책임은 유권자임으로 한국정치의 병폐인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정당과 후보자는 이번 총선에서 엄정한 심판을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