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당선자에 바란다]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본부 사무총장 “국민의 봉사자로서 상호협력 노력”

국회는 민주주의의 출발점이다. 국회의원 선거는 입법권과 국정감사권, 예결산심의권을 위임하는 선거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도 결국 가치와 비전, 노선을 둘러싼 치열한 정책적 논쟁이 실종되었던 선거였다는 점은 꼭 반성하고 넘어가야 한다.

 

이제 선거로 인한 지역사회의 반복과 갈등을 치유하고 힘을 모을 때다. 우선 선거에서 발생한 갈등의 골을 허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당선자 측은 낙선자의 정책공약 중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수용할 부분은 적극 수용해야 한다.

 

미국은 선거이후에 당선자가 낙선자의 정책공약 일부를 공개적으로 수용하여 패자에게 승복의 명분을 준다. 낙선자 측도 선거결과에 승복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협치에 적극 나서는 성숙한 자세를 배워야 한다.

 

둘째, 지역적 현안 해결과 미래비전을 위해 당선자들의 공통공약은 여야 구분 없이 힘을 모야 공동 실천한 준비를 해야 한다. 노선의 차이로 인한 갈등보다는 국민의 대표기관인 입법부로서 국가적 중대사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역선거를 통해 대의를 위임받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셋째, 선거공약에서 부실했던 ‘입법’과 ‘재정계획’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공약실천계획서를 준비해야 한다. 국회의원 선거는 입법권과 국정감사권, 예결산심의권을 위임하는 선거임에도 입법계획이 전무하다시피 했고, 재정설계도 부실했다는 점에서 공약의 이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법’과 ‘재정’ 계획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넷째, 막중한 책임과 유권자의 엄중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치열한 선거로 인해 갈라지고 상처난 지역민심을 다독여야 한다. 자신을 지지했던 유권자뿐만이 아니라 상대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에게도 국가와 지역의 봉사자로서 다가서 상한 마음을 달래줘야 한다.

 

유권자는 국회의원이 국민의 봉사자로서, 지역주민의 대표로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당당한 의정활동을 펼치길 바라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유력 정치인에게 줄서기보다는 서민들의 삶을 살피는 국민을 위한 앞선 일꾼, 봉사자가 돼야 한다. 그것이 국민에게 사랑받는 길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