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국 인천아트플랫폼 관장 “예술가·시민 함께하는 열린 공간 발돋움”

“낙후된 구도심의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예술가들의 창작 공간을 제공하는 아트플랫폼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

 

지난 3월 취임한 최병국(60·사진) 인천아트플랫폼 관장은 인천시민 누구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이 올해 말 인구 300만 명 돌파를 앞두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도시로 성장했지만, 시립미술관 하나도 갖추지 못한 열약한 현실이다보니 아트플랫폼의 역할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며 책임감을 느낀다고도 했다.

 

최 관장은 “아트플랫폼 개관 이후 지난 8년동안 내부적 내실을 다시는 역량 강화에 주력했다면 이제부터는 아트플랫폼을 찾는 시민들이 좀 더 쉽게 예술을 접할 수 있는 여러가지 프로그램 개발 등 외연 확대에 나설 것”이라며 “인천시의 전반적인 문화예술정책과 발맞춰 시민들과 인천지역 예술가(단체)들이 아트플랫폼을 쉽고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아트플랫폼은 전국적으로 예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레지던시 기관이다. 그렇다보니 많은 예술단체들은 물론 타지역 공공기관 관계자들도 아트플랫폼을 방문해 공간 운영 사례와 프로그램 사례를 벤치마킹하러 오고있다.

 

최 관장은 “안정된 레지던시 운영사업을 바탕으로 그동안 부족했던 학예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인천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올해 중점 계획”이라고 설명하며 “인천지역사회에 인천아트플랫폼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해답을 찾는 1년이 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최 관장은 13개 건물 중 역사적 보존이 필요한 일부 공간을 제외하고 시민들이 즐길 수 있도록 재미있고 혁신적인 공간 디자인을 적용할 구상이다. 또 이미 설치한 아트벤치와 함께 각종 공공 미술품을 활용해 야외 휴식공간을 꾸미기로 했다.

 

그는 “아트플랫폼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가 뿐 아니라 해외작가들도 인천에 매력을 느껴 이 곳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입주 예술가들을 통해 인천 고유 문화와 정체성이 재해석되고 이러한 것들이 전시나 공연으로 시민들에게 소개되는 계기를 자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최 관장은 “인천에서 오랜 역사와 문화적 흔적이 남아있는 근대 개항장 한복판에 위치한 인천아트플랫폼은 여러가지 좋은 조건 속에서 태동했다”며 “중구와 인천 내항 뿐 아니라 인천 전역의 문화예술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