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49회’ 인천시, 지진재난 예방위한 방재 활동 추진한다

최근 국제적으로 지진발생이 급증하는 가운데 인천시가 지진재난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방재 활동에 나선다.

 

25일 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인천지역에는 모두 49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중 규모 3.0 미만은 33차례로 가장 많았지만 3.0~4.0 사이 14건, 4.0~5.0 사이 2건 등 실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규모의 지진도 몇차례 발생했다.

 

인천에서 가장 강한 규모의 지진은 지난 2013년 5월 18일 오전 7시께 옹진군 백령도 남쪽 31㎞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규모 4.9였다.

 

이처럼 인천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지진발생 빈도가 적지 않음에도 지진대비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인천지역 공공시설물 971곳 대상시설 중 내진성능을 확보한 곳은 440곳으로 확보율이 45.3%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공공건축물 지진안전성 표시제 인증을 추진, 지진재난 예방을 위한 방재활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적으로 인천교통공사 등 내진성능을 갖춘 공공기관 4곳의 지진안전성 표시제 인증을 추진하고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종합상황실을 내진성능을 갖춘 데이터센터동(IDC)으로 옮겨 지진발생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지진가속도 계측기를 확대 설치하고 인천지역 316곳을 지진 이재민 수용시설로 지정해 관리하기로 했다.

 

하지만 관련법에 따라 1988년 이전에 건축된 건물의 내진성능을 강화하기 어려운데다 시 재정난으로 시설물 관리주체 예산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관계기관 소관 공공시설물 사업예산 확보시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사업을 우선순위로 추진할 것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