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김무성·원유철·심재철 등 3선 이상 당선자 41명
총선 참패에 상임위원장은 8개로 축소 예상… 경쟁 치열
27일 당에 따르면 20대 총선을 통해 3선 이상 중진이 된 당선자는 총 41명으로 전체 당선자 122명 중 33.6%에 해당한다.
최다선인 8선 1명(서청원)을 비롯, 6선 1명(김무성), 5선 5명(원유철·심재철·정병국·정갑윤·이주영), 4선 12명이며 3선은 절반이 넘는 22명에 이른다.
이처럼 중진들이 많아지면서 선수에 걸맞는 자리 잡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며 특히 3선들이 주로 맡는 상임위원장은 19대 10개에서 20대 총선 참패로 8개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3선 이상 중진이 12명인 경기(10명)·인천(2명)도 예외가 아닌 가운데 자의반타의반으로 당직과 국회직 도전을 잠시 접는 중진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표 참조
국회의장 혹은 차기 당 대표로 거론되던 서청원 의원(8선·화성갑)은 전날 당선자 워크숍에서 “훌훌 털어버렸다”면서 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막후 역할론’으로 돌아섰음을 밝혔고 대표권한대행인 원유철 원내대표(5선·평택갑)도 차기 원내대표가 선출되는 5월3일까지 마무리를 하고 모든 권한을 넘겨줄 계획이다. 원내대표 도전이 예상됐던 홍문종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4선·의정부을) 역시 일단 도전의사를 접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해 심재철 의원(5선·안양 동안을)은 “원내대표 도전을 내려놓고 국회부의장직으로 물러나겠다”고 밝혀 국회부의장 도전 의사를 분명히 해 대조를 보인다.
정책위의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3선 박순자 당선자(안산 단원을)와 김영우(포천·가평)·홍일표(인천 남갑)·이학재 의원(인천 서갑) 등은 정책위의장이 되지 못할 경우 상임위원장을 놓고 다른 3선 의원들과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당 일각에서는 일부 상임위원장의 경우 2년 임기를 1년씩 나눠 3선 의원들이 번갈아 맡는 방향으로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