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병사 피로도, C형간염 환자 수준…주요 원인은 새벽 근무+좁은 개인영역”

p1.jpg
▲ 사진=육군 병사 피로도, 연합뉴스
육군 병사 피로도.

육군 병사의 피로도가 만성 C형간염 환자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5일 최스미 서울대 간호대 교수에 따르면 홍은지 국군 간호사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수도권 소재 육군 부대 4곳 병사 300명을 FSS(Fatigue Severity Scale) 방식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병사들의 피로도는 3.72(±1.05)점으로 만성 C형간염 환자의 3.8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FSS는 ‘자가 진단 피로도 테스트’로 국내외 연구에서 환자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수로 이용되며, 피로도가 가장 높으면 7점, 가장 낮으면 1점 등이다.

연구팀은 “설문 대상자의 평균 나이가 22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병사들의 피로도는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 병사들의 피로는 국방력의 비전투 손실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만성피로로 진행되지 않도록 피로에 대한 감별과 중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병사들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주관적인 요인으로는 상당수가 새벽에 투입되는 근무를 꼽았다.

실제로 교대근무가 2곳 이상인 병사의 피로도(3.89)는 1곳인 병사의 피로도(3.57)보다 높았다.

내무반 좁은 개인 영역으로 인한 불편함도 피로 악화요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병사들은 야간에 옆 병사가 교대근무를 위해 옷을 갈아입거나, 코를 심하게 고는 행위로 수면에 방해받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했다.

병사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교대근무 간호사(6.9시간)나 공기업 교대근무자(7시간) 수면시간과 비슷한 7.08시간으로 군대 일과표에 규정된 8시간보다 낮았다.

최스미 교수는 “제한된 병력으로 부대를 운영하기 위해 병사들의 대부분이 2개 이상의 교대근무를 하는만큼 이들에게 충분한 휴식 공간과 적정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성인간호학회 공식 학술지인 ‘성인간호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