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주택 평균 전셋값이 사상 처음으로 2억원을 넘어섰다. 전세 물건 부족과 봄철 이사 수요 등이 겹쳐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풀이된다.
5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평균 전셋값은 2억32만원으로 관련 통계가 발표된 지난 2011년 6월 이후 최초로 2억원을 돌파했다.
지난 2011년 6월 1억2천975만원이던 전국 주택의 평균 전셋값은 매월 상승세를 지속해 4년10개월 만에 54.4% 상승했다. 아파트의 전셋값이 2억2천73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단독주택이 1억5천193만원, 연립주택이 1억1천563만원으로 전 유형의 전셋값이 모두 조사 이래 최고 시세를 기록했다.
수도권의 주택 평균 전셋값은 2억5천256만원으로 기타 지방(광역시 제외) 평균 전셋값(1억2천37만원) 보다 1억3천219만원 비쌌다. 특히 서울과 경기지역의 전셋값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경기지역의 주택 평균 전셋값은 2억1천939만원으로 집계돼 전월(2억1천845만원)보다 94만원 올랐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전셋값이 2억4천147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단독(2억615만원), 연립(1억38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도내 규모별 아파트 전세가를 살펴보면, 대형 3억8천898만원, 중대형 3억3천247만원, 중형 2억8천546만원, 소형 1억2천41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주택 평균 전셋값은 3억2천596만원으로 이 가운데 아파트가 4억408만원으로 집계돼 지난달 최초로 4억원(4억244만원)을 돌파한 이후 두 달 연속 4억원을 넘겼다.
이밖에 세종의 주택 평균 전셋값은 1억2천914만원(아파트 1억6천185만원), 부산 1억4천821만원(아파트 1억8천107만원), 광주 1억4천775만원(아파트 1억6천793만원) 등으로 전월대비 오름세가 지속됐다. 입주물량이 늘어난 대구와 경북의 전셋값은 하락했다.
특히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전세공급 물량 부족 정도를 나타내는 전국의 전세수급지수주)는 170.2로 기준치인 100을 크게 웃돌아 전세수급 불균형은 장기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 가치평가부 부동산정보팀 관계자는 “대부분 지역에서 전세수급 불균형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특히 경기지역과 인천, 서울 등 수도권을 비롯해 광주, 대전 등이 특히 타 지역보다 전세공급 물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전세수급 불균형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