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부두운영사 통합 ‘난항’

운영사마다 이해관계 달라 재공고에도 유찰 가능성 커

인천 내항 부두운영사 통합이 시작부터 쉽지 않은 모양새다.

 

인천항만공사는 지난 3일부터 오는 9일까지 ‘인천 내항 TOC통합 타당성 검토 및 방안 수립 연구용역’ 입찰 재공고를 진행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원래 6일까지 입찰을 마감할 예정이었으나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마감을 연장했다.

 

지난 3월 15~4월 25일까지 1차 용역 입찰 공고를 진행했으나, 응찰한 곳이 단 1곳에 불과해 유찰됐다. 항만공사 측은 재공고에서도 유찰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항만공사는 추가 응찰업체나 기관이 없을 경우 수의계약으로 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부두운영사 통합은 현재 인천 내항 부두운영사 10개를 1개로 통합하거나 또는 기능별, 화종별, 부두별로 2~3개로 통합한다.

 

용역에서 통합 운영사에 인천항만공사가 지분을 참여할지와 민간 부두운영사 운영체계 정비 등을 포괄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와 부두운영사 측은 내항 화물 물동량 감소, 출혈경쟁으로 인한 운영난 가중, 내항 1·8부두 재개발 등이 맞물려 있어 부두운영사 통합이 필요하다는 데는 큰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부두운영사별로 통합에 따른 이해관계가 다르다. 업체별로 통합운영사에 참여할지도 불확실하고, 인천 내항 재개발을 앞둔 터라 변수가 많다. 현 부두운영사의 영업권 보상, 부두시설 임대계약 중도해지, 1천300여 명에 달하는 운영사 임직원과 항운노동자 고용보장 방안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당초 4월부터 용역을 시작해 내년 하반기까지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용역주체 선정이 늦어지면서 일정도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용역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진행할 예정”이라며 “정부와 인천항만공사, 부두운영사, 항운노조 등이 용역 결과를 토대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 인천 내항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