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경제부시장의 잇단 사퇴가 행정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지난 2014년 7월 출범한 민선 6기 유정복 시장에 의해 임명된 2명의 경제부시장이 각각 1년도 되지 않아 유 시장 곁을 떠났다.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초대 경제부시장에 임명된 배국환 전 부시장은 취임 11개월만인 지난해 8월에, 국토부 출신의 홍순만 전 부시장은 취임 8개월만인 지난 4월 각각 사퇴했다. 유 시장과 시정철학을 공유하고 구현하기엔 너무 부족한 단명(短命)이다.
특히 유 시장은 취임 직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시 재정 건전화 추진을 명분으로 기존 정무부시장직을 경제부시장직으로 전격 개편하고, 시 예산과 재정 및 경제 산업분야를 맡겼다. 규제개혁추진단과 경제산업국·건설교통국·해양항공국 등 3국 1단을 경제부시장 산하에 두고 관련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지만 2명 모두 중도 하차해 업무 공백을 초래했다.
배 전 부시장은 인천공항 민영화 추진 등 설익은 시책들을 내놓아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급기야 소통 부재 논란 끝에 스스로 사퇴했다. 홍 전 부시장은 교통 분야 전문가로 인천발 KTX 개설 등 지역 교통 현안 해결에 기대를 모았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물러났다. 그는 부시장 사임 후 공석인 코레일 사장 공모에 응모, 신임 사장에 내정됐다. 한 명은 겨우 소관업무를 파악하고 한창 일할 시점에 물러났고, 또 한 명은 마음이 콩밭에 가있었으니 시민의 귀한 세금으로 꾸려지는 시정 살림이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돌아갈 리가 없었다. 시민의 혈세가 허망하게 새고 있었던 거다. 유난히 중앙정부 출신 인사만을 선호한 유 시장의 인사정책이 초래한 부작용이자 폐해다. 시의 한 고위 공무원은 지역 실정을 모른 채 기용된 중앙 부처 출신 부시장과 기존 공무원간 업무 처리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결국 좋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고 안타까워했다.
상식적으로 부시장 등 고위직의 적정한 재임 기간은 최소한 2년은 넘어야 한다고 본다. 경제부시장으로 취임한 상당기간은 소관 업무를 파악하고,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시책 입안이라야 행정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취임 몇 개월 만에 자리가 빈번하게 교체되는 상황에선 행정의 효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행정의 비효율성은 결국 인천시 경쟁력 저하의 요인이 된다. 이에 따른 피해는 시민이 입을 수밖에 없다. 또 부시장의 잦은 교체는 공직사회 분위기를 이완시킬 뿐더러 시정에 대한 시민의 신뢰마저 크게 흔들리게 한다. 유 시장은 앞으로 이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게 시장과 손발을 맞출 수 있는 후임 부시장을 골라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