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최고위원제 폐지 등 혁신안의 내용을 놓고 폐지론과 유지론이 엇갈리는 혼선이 빚어지면서 오는 8월27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의 준비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진행된 정책조정회의에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해 논란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며 “이 문제가 당내 새로운 갈등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음주 초에 의원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가 이날 의원 간담회를 언급한 것은 더민주가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준비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지난주 마련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에는 당헌당규 분과가 별도로 있어 이 기구에서 논의가 이뤄져야 할 상황이지만 혁신안에서 정한 최고위원제 폐지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어 이를 공개적으로 논의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최근 전준위 내부에서는 당 운영의 효율성 문제 등을 지적하며 혁신안을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거세게 일어났으나 올초 혁신안을 만들었던 세력들이 잇따라 반대의 목소리를 내면서 혼란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김상곤 당권재민혁신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일 전준위 위원들과 자당 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이로 인해 전대준비위원회 당헌·당규 분과위원회는 2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제 폐지 여부를 안건으로 올려 회의를 진행했지만 이렇다할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회의를 종료했다.
한 분과위원은 “최고위원제를 유지하는 것도, 폐지하는 것도 각각 장단점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성급하게 결론을 내기보다는 의원의 의견을 더 들어보고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올초 혁신위의 혁신안은 최고위원회의 의결로 당헌으로 규정, 20대 국회 개원 후 치뤄지는 첫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대표위원제’를 도입키로 했다. 권역별로 5명, 직능별로 5명씩의 대표위원을 두는 방식이며 비대해진 사무총장의 권한을 분리해야 한다며 5본부장(총무·조직·디지털·전략홍보·민생) 체제로 변경됐지만 효율성 문제가 지적돼왔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