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행 중인 ‘방 탈출카페’ 일부가 화재 시 위험에 속수무책인 것으로 드러난(본보 5월24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가 방 탈출카페 등 도내 재난 취약시설 6천300개소를 전수 점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2일 오후 도청 재난상황실에서 재난 취약시설 긴급안전점검 영상회의를 열고 “그동안 점검하지 못했던 공사현장과 신종업소 등 취약시설에 대해 실질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해야 한다”라며 “시ㆍ군의 현장 감각과 전문지식, 도의 예산과 인력지원을 결합해 우기가 오기 전에 대형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점검 대상은 ▲경기도와 시ㆍ군이 발주한 대형 관급공사 154개소 ▲호우 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축대옹벽, 급경사지, 저수지 등 우기 대비 취약시설 2천200개소 ▲인구가 밀집해 화재 시 대형 인명피해 우려가 있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31개소 ▲전통시장 140개소 ▲재난 시 자력 대피가 불가한 인원을 수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및 의료시설 390개소 ▲방 탈출카페, 코인노래방 등 신종업소 ▲쪽방촌, 고시촌 등 인구밀집 등 화재 취약지구 ▲여름 성수기를 맞이하는 야영장 시설 460개소 ▲다중이용시설 2천800개소 ▲익수사고가 우려되는 물놀이지역 100개소 등이며 각 시ㆍ군이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시설까지 포함될 예정이다.
도와 시ㆍ군은 이번 점검에서 그동안 국가안전대진단 등을 통해 최근 2개월 내 점검하지 않았던 시설을 중심으로 안전 사각지대를 최대한 발굴해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시ㆍ군은 오는 10일까지 점검이 필요한 시설에 대한 리스트와 필요 예산을 도에 전달하고 도는 이에 필요한 예산을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할 계획이다.
남 지사는 “이번 안전점검은 도 혼자서는 다 할 수 없다. 현장을 잘 아는 시ㆍ군의 협조가 절대적”이라고 강조하고 “도는 점검의 원칙과 매뉴얼, 예산과 인력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