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 상태 빠진 여야3당 원구성 협상… 법정시한 준수 부정적 여론 확대

여야 3당의 20대 국회 원구성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오는 7일로 예정된 20대 국회의 첫 임시회 소집일까지 결과가 나오기 어려울 전망이다.

여야 3당이 원구성 협상 이전 원내지도부간 협의를 통해 법정시한을 지키자고 약속했음에도 각 당별로 이해가 엇갈리면서 법정 기한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을 여당이 가져가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면서 원구성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대한 결심을 했다. 법사위(원장)를 과감하게 양보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는 새누리당이 화답할 차례이다. 여소야대 국면에서는 여소야대 정신에 맞게 야당 출신 의원이 국회의장을 맡는 게 타당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정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꼼수도 그런 꼼수가 없다”면서 더민주의 제안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지난 5월30일 협상과정에서 나눈 이야기이고 (더민주)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가 공개하지 말자고 해서 약속을 지키려고 무던히 애를 썼었다”고 말했다. 당시 더민주는 법사위원장을 새누리당에 내줄 경우 반대급부로 국회의장 외에 운영위원장과 정무위원장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여야가 원구성 협상에서 난항을 거듭하면서 불과 5일 앞으로 다가온 법정시한을 준수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야가 국회의장직을 어느 당이 가져갈지를 놓고도 결정을 하지 못한데다 ‘알짜’ 상임위원장 배분 셈법 때문에 이후 원구성 협상에도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여야간 대립이 계속될 경우 7일부터 30일간 지속되는 첫 임시국회 회기내에 의장단을 선출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재민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