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구 지정업체 규정위반… 불안 증폭
물품 맞춤형 소독 망각 ‘약품처리’ 논란
인천시 연수구의 어린이집 소독 방식변경 논란(본보 5월 23·27일 7면 보도)과 관련해, 지역 내 모든 어린이집의 소독을 맡은 업체가 규정을 어기고 약품처리 형태로 소독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7일 구와 어린이집 등에 따르면 어린이집 살균 소독 업체 공모 시, 어린이집의 장난감과 교구를 비롯한 교재, 각종 물품 등에는 약품을 직접 사용해 소독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
구는 특히 장난감은 소재를 구분해 고온스팀살균 하고, 직물류와 교구는 자외선(UV)램프를 이용해 살균토록 했다. 자칫 플라스틱 소재의 물품이 고열에 변형되면서 환경호르몬 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모에서 낙찰받은 A 업체는 이 같은 방법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제멋대로 소독을 하고 있다.
A 업체는 현재 어린이집에서 장난감 등을 바닥에 무분별하게 펼친 뒤 약품을 전체적으로 살포하거나, 약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물품에도 약품을 사용해 소독하고 있다.
게다가 장난감 종류를 확인하지 않고 바구니 채 살균하거나, 심지어 건조 상태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소독에 어린이집들은 장난감이 손상되거나 오히려 세균이 번식해 비위생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기존에는 한 개의 장난감과 교구도 빠짐없이 꼼꼼히 소독을 해줬다”면서 “현재 업체는 모든 장난감과 교구 등을 바닥에 널브러뜨리고서 소독약을 뿌리는 등 전문성도 떨어져 보인다. 자칫 아이들에게 소독약이 직접 닿지는 않을까 걱정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A 업체 관계자는 “규정과 달리 약품처리 한 것은 맞다. 하지만, 애초 구의 과업지시가 무리가 있고, 기존 방식보다 현재 방식이 살균능력에서 월등히 앞선다.”며 “각종 민원을 해결하려고 각 어린이집 실정에 맞게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연선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