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지 못하는 인천 항공산업

기술력 부족·市 재정난에 발목
육성계획 4년 넘었지만 제자리
전문가 “적극적인 정책마련 시급”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을 활용해 인천만의 특화된 전문 항공정비 부품산업을 육성하고, 남동·주안 산단의 기업이 항공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인천시가 지난 2012년 항공산업을 육성하겠다며 내놓은 계획이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이뤄진 것은 하나도 없다.

 

특히 9일 항공엔진정비센터가 문을 여는 등 최상의 입지를 갖춘 인천지역 기업이 항공산업의 높은 진입장벽, 기술력 부족 등에 막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시의 지원이 시급하지만 열악한 재정에 발목 잡혀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 사이 경상남도는 항공전문 국가산업단지까지 조성하며 앞서가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민선 6기 8대 전략사업 중 하나인 항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은 선도기업 선정 사업이 전부다.

 

예산도 2억5천만원에 불과하다. 이 사업은 인천지역 산단에 입주해 있는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항공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거나 잠재역량이 있는 기업을 발굴하려고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 2014년 인천지역 남동산단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항공관련 사업에 진출할 의향이 있는 150여 곳 중 12곳만 지난해 선도기업으로 선정했다.

 

시의 유일한 항공관련 산업 육성 사업이 2년만에 겨우 이뤄진 셈이다. 또 시는 예산부족으로 올해 ‘항공산업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기본계획 수립에 드는 3억원을 예산부서에서 삭감해 유 시장 취임 직후 세운 항공산업 육성 정책을 손보는 것으로 대체했다.

 

전문가들은 미래 먹거리인 항공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시의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창경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세계 10위 안에 드는 인천국제공항이 가장 큰 문제는 정비분야가 미흡하다는 점이다”며 “단순한 경정비가 아닌 중정비 시설을 갖춰야 하고, 이를 위해 항공 부품 산업도 함께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남동산단은 기계, 소재 등 분야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산단 중 하나다”며 “이들 기업이 항공부품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이와 병행해 부품인증, 마케팅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오는 2023년 무인기가 유인기의 항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럴 경우 15년 안에 무인기 관련 산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유 교수는 내다봤다.

유 교수는 “항공관련 산업은 하자고 해서 되는게 아니다.

산단 기업들에 대한 꼼꼼한 분석으로 항공산업 진입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별하고,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도 병행해야 성공할 수 있다”며 “시는 항공산업에 진출하려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신기술 발굴, 기술력 확보 등을 이끌어내 실제 항공산업 육성에 필요한 예산을 국비 지원사업으로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