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추진하는 구도심지역 학교의 신도심 이전 재배치 계획(본보 5월 17일자 3면)이 시의회에서 거센 논란이 일고 있다. 시의회가 학교 이전재배치 심사를 보류할 가능성이 커 신설학교 개교 지연에 따른 학생 피해도 우려된다.
12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 적정으로 승인된 서구 청라지구 경연초등학교, 남동구 서창3초등학교 건립이 갈수록 난항을 겪고 있다. 이들 학교 건립을 위해 폐교하기로 한 서구 및 남구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극심하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열린 시의회 교육위원회에서 박승희 시의원(새누리·서구4)은 전북과 강원도 사례를 들며 서구 봉화초등학교 폐교에 문제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학교이전은 지역발전의 추이와 도시개발계획 진행 등 다양한 사항을 살펴보고 진행해야 할 사항”이라며 “봉화초등학교 폐교방침에 가좌동 지역 주민들의 큰 반발이 이어진 만큼 시교육청은 보다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박송철 시교육청 행정국장은 “학교 관련 예산과 교원배치는 학생 수에 비례해 정해지기 때문에 설사 학교를 신설하더라도 예산과 교원이 배정되지 않는다”며 “학생 수가 늘어나는 신도심지역 과밀학급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 이전재배치를 진행할 수밖에 없으며 정책적으로 많은 사항을 고려해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학교 폐교 후 신설안을 두고 논란이 가열되면서 행정절차 지연으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졌다. 오는 2019년 개교해야 할 청라 및 서창지구 신설학교 착공이 지연되면 이들 지역 과밀학급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적정규모 학교 유지를 위한 학교 이전재배치는 불가피한 조치로 보다 신중히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