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납 기준치 초과 학교 운동장 우레탄트랙에 대한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그러나 많은 비용을 들여 단순히 우레탄트랙을 철거하고 마사토 등으로 대체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40%에 가까운 납 기준치를 넘지 않은 우레탄트랙이다. 이를 풀어보면 정상적으로 공사가 이뤄졌을 경우 우레탄트랙 자체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해 볼 수 있다. 정부의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 확보와 업체들의 정상적인 시공이 어우러진다면, 무조건적으로 우레탄 트랙을 피하고 볼 문제는 아니라는 것이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이 우레탄트랙의 유해성 전수결과를 벌인 결과, 트랙보유 학교 397곳 중 245곳(61%) KS 기준(90㎎/㎏)을 초과하는 납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납성분이 아예 검출되지 않은 곳은 34곳, 납 성분이 검출됐으나 기준치에 미달한 학교는 118곳에 달한다.
무엇보다 납 기준치가 넘는 학교들이 60%를 넘는 원인에 대한 분석이 시급하다. 원인을 알아야 대책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최저가 입찰이 부른 폐해일 수 있다는 주장에 귀 기울여볼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시공업체들은 단가를 낮추려고 폐타이어 등 납성분이 포함된 재료를 섞기도 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또한 촉박한 공사기간으로 인해 납 성분이 많은 촉매제 사용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우레탄 성분 자체가 예민한 탓에 한여름이나 한겨울에 공사를 할 경우 제대로 굳지 않아 촉매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이유도 한몫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제대로 된 재료를 쓰고 정상적인 시공을 했을 때라면 얘기가 다를 수 있다.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명확하게 하고, 시공 과정에서 제대로 된 관리감독이 이뤄진다면 아이들이 맘껏 뛰어놀 수 있는 우레탄트랙이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 반문해본다. 물론 업체들이 양심을 팔지 않아야 한다는 점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도 정부와 도교육청 등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학교 내 우레탄 트랙은 해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관리주체가 제각각인 학교 밖 우레탄 트랙은 현재로는 대안이 없어 보여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명관 사회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