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하늘다람쥐 등 725마리 구조

경기도, 올 상반기 야생동물 구조 성과

경기도가 멸종위기 하늘다람쥐 등 야생동물 700여마리를 구조하는 성과를 거뒀다.

 

11일 도북부청에 따르면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야생동물구조센터는 올 상반기(1월~6월)에 천연기념물 제324호 수리부엉이를 포함, 모두 70종 725마리의 야생동물을 구조ㆍ치료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 556건보다 30%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상반기에 구조된 725마리의 야생동물은 조류가 60종 481마리로 가장 많고 포유류 8종 241마리, 파충류 3마리 등의 순이다.

 

이중 멸종위기 2종인 하늘다람쥐는 물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맹금류(수리부엉이, 황조롱이, 소쩍새, 솔부엉이 등) 등 멸종위기종 53마리, 천연기념물 247마리도 포함됐다.

 

조류의 경우 어미를 잃은 새끼와 이동 중 충돌 등 때문에 부상과 골절을 입은 개체들이 가장 많았으며 포유류는 이동 중 교통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다친 개체들을 제일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센터는 치료를 완료한 132마리를 자연으로 방생했으며 나머지 333마리는 치료ㆍ재활을 마친 뒤 종별 특성을 고려, 자연에 복귀시킬 계획이다.

 

특히 야생동물 자연복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의과대학 및 국립환경과학원 등 관계기관과 학술 및 임상교류를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올해 야생동물의 자연재활ㆍ복귀 비율이 예년 33%에 비해 64%로 대폭 증가했다.

 

안락사 비율은 지난해 12.5%보다 7.5%가 감소한 5%(39마리)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2009년 야생동물센터 개소 이후 최저 비율이다.

 

임병규 도축산위생연구소장은 “시민들의 관심으로 올해 야생동물의 자연재활복귀 비율이 많이 증가했다”며 “종별 특성 등으로 인해 번식기가 늦어지는 일부 개체에 대해 애정 어린 관심을 둬달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