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GM 귀족노조의 추악한 채용·납품비리

한국지엠 노조가 각종 비리로 얼룩지고 있다. 한국지엠 노조원들이 직원채용 과정에서 뒷돈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구속돼 조사받고 있는 건 귀족노조가 언제든지 비리에 연루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건이다. 한국지엠 노조간부의 ‘취업 장사’ 의혹을 수사 중인 인천지검 특수부(김형근 부장검사)는 10일 직원 채용 대가로 돈을 받은 혐의로 이 회사 직원 A씨(58)와 B씨(50) 등 3명을 구속하고, 이들에게 금품을 주고 취업한 3명을 불구속 조사 중이다.

A씨는 납품업체로부터 억대의 돈을 받은 혐의로 이미 구속 기소된 전 노조지부장 C씨(52)의 친형이며, B씨도 역시 납품비리 혐의로 구속 기소된 또 다른 전 노조지부장(55)과 함께 집행부에서 일한 노조 간부 출신이다. 나머지 1명은 노조 전 대의원이다. 검찰은 A씨 등 3명이 사내 취업 브로커로 활동하며 ‘발탁채용’ 제도를 이용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취업자 3명에게서 1인당 수천만 원을 받아 이 중 일부를 회사 윗선에 전달한 걸로 보고 있다.

한국지엠은 매년 수십 명씩 발생하는 퇴직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도급업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발탁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노조는 관행적으로 발탁채용 인원을 사측에 추천해왔는데 이게 비리가 끼어들 빌미가 되고 있는 거다. 그동안 회사 안팎에선 노조 간부와 회사임원들이 자신들의 지인 등을 도급업체에 비정규직으로 취업시킨 뒤 발탁채용 제도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시켰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사측이 노조에 발탁채용 인원 추천권을 부여한 것에 대해서도 뒷말이 많았다. 사측이 노조와의 임단협 등 각종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미끼로 채용인원 추천권을 주고, 비리를 눈 감아 줬다는 거다. 노사관계 협력이 아무리 중요하고 절실한 과제라고 한들 사측이 이런 비리를 매개로 노조의 협력을 유도하는 건 치졸하고 비열하다.

검찰은 이에 앞서 명절이나 사내 체육행사 때 직원들에게 나눠줄 선물세트를 납품하는 업체로부터 거액을 받은 전·현직 노조 간부 3명을 비롯해 전 노사부문 부사장과 현직 노사협력팀 상무 등 전·현직 임원 2명을 구속 기소한 바 있다. 노조 전 지부장 C씨는 납품업체로부터 1억1천만 원을 받았고, 노조원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전직 노조 간부는 8천만 원을, 현직 노조 간부인 조직 쟁의실장도 수천만 원을 받은 걸로 드러났다. 검찰은 노조 간부들이 회사 임원들과 납품업체 선정을 협의하고, 뒷돈도 나눠 받은 걸로 보고 있다. 현 노조지부장도 인정했듯 잘못된 관행이 하루 이틀에 이뤄진 게 아닌 만큼 이로 인한 비리가 더 있을 걸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검찰의 확대 수사를 주시하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