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받는 동포… 국가떮국민들 관심 절실”
사할린 동포 1세에 대한 국가적·국민적 관심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안산단원갑)은 14일 잊혀가는 사할린 동포를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등 관계기관의 유기적 협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동포들의 사망으로 안산 고향마을에 공동화(空洞化)현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해 앞장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영주귀국 사할린한인 지원업무를 맡고 있음에도 안산 고향마을에 빈집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 LH로부터 전혀 들은 바가 없다며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사업의 핵심인 안산 고향마을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관계기관 간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복지부는 LH의 사할린 담당자가 자주 바뀌는 등 LH에서 사할린 동포에 관심도가 희박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상황인 탓에 구조적 문제해결 노력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또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당연히 고향마을 같은 집단 거주시설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데 공실이 늘어가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사실상 사할린 동포 지원사업은 방치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공실문제를 해결하려면 전국적으로 입주 희망자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며, 이후 운용과 활용방안에 대해 관계기관과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사할린 동포들을 법적 테두리 안에서 보호해 줄 장치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 2005년 사할린 한인의 귀국과 국적 회복 지원, 대일항쟁기 강제 징용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일본과의 교섭 노력 등의 내용이 담긴 ‘사할린한인지원특별법’ 제정 움직임이 시작됐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각종 이유로 국회에 계류된 상태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한인지원특별법안이 계류되고 있는데 사할린 동포들을 위한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국민적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또 이제 1세 동포 이외에도 2·3세대 동포들을 위한 조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역시 “영주귀국한 동포들에게 생활비와 정착비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문화차이 등으로 빚어지는 문제를 도와줄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세상을 떠난 사할린 동포의 넋을 기리는 공간 마련을 위한 정부의 관심도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내는 물론, 사할린 현지에도 사할린 동포를 위한 기념관 등은 전무한 상태다.
부산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상임대표 무원 스님은 “수년간 모인 국민 성금으로 겨우 사할린 현지에 추모관 건립을 시작했으나 정부 지원이 전혀 없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동포들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역사관을 건립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나 민간의 힘으로 한계가 있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구재원·안영국·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