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진료비는 20~30대가 많아 예방법 없어 조기검진이 중요
비만·음주는 발병률 높이고 운동·출산·수유는 위험성 줄여
유방암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가 지난 2011년과 2015을 비교한 결과 4년간 35.6%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은 발병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완전한 예방법이 없는 질환이다. 국내 유방암 발병 현황과 치료법,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등을 알아본다.
▲고연령일수록 유방암 발병율 높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2011-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방암 질환 진료 인원이 2015년에 2011년보다 3만7천86명 늘어난 10만4천293명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기간의 진료비는 4천414억원에서 5천962억원으로 1천548억원으로 역시 35.1%나 증가했다. 2011년부터 4년 간 연평균 증가율은 진료인원 7.9%, 진료비 7.8%로 매년 꾸준한 증가세다.
특히 40~60대의 중년층에 유방암 발병율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50대 671명, 60대 587명, 40대 419명 순으로 많았다. 2011년과 비교했을 때에도 고연령일수록 증가율이 높았다.
이와 관련 공단 측은 유방암 건강검진 인원이 2011년 324만 명(대상자의 51.5%)에서 2015년 368만 명(60.9%)으로 증가한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반면 1인당 진료비는 20~3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왔다.
이와 관련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허호 교수는 “20~30대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전이성이 강한 유방암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다른 연령대 환자들보다 항암화학요법 등 견디기 힘든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는 것이 한 가지 이유”라며 “또 최근 유방재건술이 활성화되면서 젊은 연령에서 유방재건술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그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운동, 출산, 수유 등이 유방암 발병 위험 줄여
유방암은 유방의 세포가 성장이 조절되지 않아 증식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대부분 유관세포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지만, 지방이나 결체조직 등에서도 발생할 수도 있다.
기본 치료법은 수술이다. 보조 치료법으로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내분비(항호르몬)요법, 표적치료 등이 있다. 수술 방법과 유방암에 대한 조직 검사 결과를 토대로 보조치료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급성기 치료 이후에는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재발 여부를 평가한다.
문제는 발병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 완전한 예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정기적인 암검진을 통해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유방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위험인자들을 멀리하는 것이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는 등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의 위험은 높아진다. 출산과 수유 등은 유방암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비만은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동시에 운동은 유방암의 발생률을 감소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을 위한 다이어트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 음주는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한편 BRCA1이나 BRCA2와 같은 유방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경우, 예방적 유방절제술과 예방적 난소절제술을 받거나 타목시펜이나 랄록시펜 같은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