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소통연구소 “심의위원 선정 시스템 객관적 기준 안보여”
특정 문학회 출신 밀어주기 의혹… 재단 “공정한 심의, 문제없어”
인천문화재단이 주관하는 각종 지원사업 추진 과정에서 심의위원을 선정하는 시스템과 객관적 기준이 없다 보니 특정 문학회 출신 밀어주기 등 부적절한 행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등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인천문화재단 설립으로 출판부문 지원사업이 시 문화예술과에서 재단으로 넘어가면서 기존 심의기준표가 삭제, 사업 선정과정에 불필요한 문제가 나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외현 계간 아라문학 편집장은 최근 제물포 아라아트홀에서 열린 포럼에서 “지난 2004년 시 문화예술과의 문화예술진흥기금 심의기준표가 인천문화재단으로 업무가 이관되는 과정에서 삭제되다 보니 특정 문학회와 연계된 각종 문제와 의혹들이 불거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편집장이 공개한 2004년 당시 ‘문화예술진흥기금 심의기준표’를 보면 공통기준 45점, 개별기준(질적평가) 55점 등으로 구체적 배점기준을 담고 있다. 이 중 공통기준을 보면 개최시기·장소·시설 적정성(6점), 총 사업비 대비 자체예산 부담비율·사업비 편성 타당성(각 5점) 등의 내용과 결과보고 지연여부(6점) 등 사후 평가까지 배점을 주어 평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2006년 이후 재단의 심의기준 및 절차에는 1차 행정심의, 2차 전문가 서류심의, 3차 전문가 인터뷰 등 심의 기준만 있을 뿐 구체적이고 객관적 심의기준이 없다보니 심의위원의 견해만으로 특정문학회 밀어주기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 편집장의 설명이다.
그는 “지난 2012년 이후 재단 내부 인사가 심의에 참여하면서 특정문학회 회원들의 작품 선정이 늘어나기 시작했다”며 “재단 내부 인사가 참여하지 않은 2006년부터 7년간 특정문학회 관련 선정은 11건이지만, 2012년 이후 4년간 특정문학회 선정이 19건으로 급증해 의혹을 사고 있다”고 주장했다.
포럼을 주관한 장종권 문화예술소통연구소 이사장도 “심의위원 선정에 원칙이 없고 작품 심의기준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출발하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제기에 재단 측은 특정 심의위원을 배재하겠다고만 말하며 일정부분 문제는 인정하지만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는데는 나서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재단의 의혹을 해부하는데 앞으로 전력을 다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문화재단의 한 관계자는 “배점기준 등의 점수가 수치화가 돼 있지 않을 뿐 투명하고 공정한 심의기준이 있으며 이를 운영하고 있어 절대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