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인라인스케이트장 포함
도교육청 “전수조사 70% 진행”
학교 우레탄 트랙에 이어 농구장 등 체육시설에서 또다시 기준치의 100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우레탄이 사용된 체육시설을 보유한 학교는 425개교로, 이들 학교에는 총 470개의 체육시설(초 150개소·중 177개소·고 139개소·특수 4개소)이 설치돼 있다. 우레탄 체육시설의 대부분은 농구장이며 배드민턴장, 체육관 바닥, 다목적 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도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조사가 완료된 407개 시설 중 한국산업표준(KS) 납기준 90㎎/㎏을 초과한 시설은 270개소(66%)에 달했다. 초등학교 98개소, 중학교 88개소, 고등학교 82개소, 특수학교 2개소로 초등학교 우레탄 체육시설의 유해성이 가장 심각했다. 특히 일부 시설에서는 KS 납기준의 100배(9천㎎/㎏)를 초과하는 납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까지 학교 현장을 조사한 결과 트랙보다 농구장 등 체육시설에서 납이 더 많이 검출되고 있다”며 “우레탄 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는 현재 70% 가량 진행됐으며, 다음달 초에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체육시설의 중금속 유해성 조사가 완료되는대로 학교 명단 검출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또 우레탄이 사용된 체육시설의 교체를 위해 교체비용 약 300억원 중 일부를 도교육청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