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0.8%로 집계됐다. 지난해 4·4분기 이후 3개 분기째 0%대 성장률이 이어진 데다 하반기엔 소비 진작 등 정책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보여 성장 부진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은 375조3천336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8% 증가했다. 지난 7월 발표했던 속보치(0.7%)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2·4분기 GDP 성장률은 작년 3분기 1.2%를 기록한 이후 3분기만에 가장 높고, 1분기(0.5%)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작년 4분기(0.7%)이래 3분기째 성장률이 0%대에 머물고 있다. 작년 3·4분기에 1.2%로 반등했던 것을 제외하면 2014년 2·4분기(0.6%)부터 8분기 동안 성장률이 0%대의 부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제활동 별로 보면 제조업 성장세가 전 분기 마이너스 0.2%에서 2분기엔 1.2%로 돌아섰다. 유가가 소폭 반등하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과 화학제품 등이 늘었다.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1.0% 증가했다. 1분기 4.8%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했다. 서비스업은 운수 및 보관업, 부동산 및 임대업이 줄었지만 도소매·음식숙박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성장했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늘면서 1.0% 늘었다. 1·4분기에 민간소비가 0.2% 감소하면서 ‘소비절벽’ 우려가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호전된 것이지만, 상당 부분 정책효과에 힘입은 것이어서 하반기 소비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이 늘면서 3.1% 증가했지만 1분기 6.8%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늘어 2.8%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석유 및 화학제품 등이 늘어 1.1% 증가했고 수입은 원유, 자동차를 중심으로 2.1% 늘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2분기 경제성장률 0.8%,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