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제313회 임시회에서 남경필 경기지사의 역점사업인 ‘버스준공영제’와 ‘2층 버스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민경선 의원(고양3)은 7일 열린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경유 가격이 최근 3년 사이 32%가 하락하는 등 버스업체의 재정상황은 최근 10년 중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다”면서 “도는 버스기사 처우개선 지원을 통해 준공영제를 이루겠다고 하는데 업체에 맡길 일”이라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경기도는 버스준공영제 투입 비용을 829억 원으로 산정하고 있는데 유가 하락과 요금인상이 반영되지 않은 2014년 버스회사 재정지원금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해 업체만 좋은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2층 버스 도입 과정에서 권한이 없는 경기도 버스운송사업조합이 입찰공고를 내고 조달업체를 선정한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민 의원은 “버스조합은 지난해 3월2일 2층 버스 도입을 위해 사업자들에게 입찰공고를 냈으나 경기도와 남양주ㆍ김포시 등으로부터 구매계약을 위임받은 시점은 20일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라면서 “권한도 없이 입찰공고를 낸 것은 절차적 하자”라고 주장했다.
남 지사는 “많은 도민이 출퇴근 시 고통을 받아서 도지사로서 바라보고만 있을 순 없었다. 민 의원의 주장을 잘 검토해 문제가 있는 부분은 보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도는 서면답변을 통해 “2층 버스는 이용자 만족도가 놓고 입석 완화 효과가 있는 데다 안전성ㆍ경제성이 확인됐다”며 “2층 버스 입찰은 차량성능, A/S 체계가 우수한 차량을 공정하게 도입하기 위해 버스조합이 운송업체의 위임을 받아 수행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국민의당 김지환(성남8) 의원은 광주시의 한 버스업체가 부동산 구입을 위해 2011∼2015년 5년간 5천억 원 이상의 비용을 사용했는데 도는 이 기간 해당 업체에 687억 원을 지원했다며 도의 재정지원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도는 준공영제가 아닌 민영제 하에서 버스업체에 관여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답변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