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촉즉발 격랑의 서해5도 앞바다 어민들 평화·생존권 수호 나섰다

주민·시민단체 ‘인천시민대책위’ 발족
특별법·피해지원법 등 현안 대책 모색
市 주도 ‘민·관·군 협의체’ 불참 방침

▲ 인천지역 서해5도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대책위 제공
▲ 인천지역 서해5도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대책위 제공

중국어선 불법조업과 남북경색으로 얼어붙은 서해5도 현안을 해결하고자 주민들이 직접 나섰다.

 

인천지역 서해5도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백령도 선주협회, 연평도 어촌계 등 서해5도 지역 주민들이 주축이 됐으며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8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에서 “서해5도는 중국어선 불법조업과 남북 대화단절 등으로 생존권의 위협을 받고 있는데도 인천시는 서해5도 어업지도선 운영비 지원을 중단하려 하고, 옹진군 서해5도 특별지원단은 행정자치부 규정에 따라 올해 연말 해체될 위기에 놓여 있다”면서 “서해5도의 문제는 섬에 살고 있는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분단된 나라의 현실에서 인천시민과 국민이 겪게 될 어려움과 고통을 가장 먼저 겪고 있는 것뿐”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앞으로 서해5도 특별법 개정, 피해지원법 제정, 인천시 서해5도 지원 조례 제정 등 다양한 입법 활동과 서해5도 현안 대책을 논의할 토론회 개최, 서해5도 바로 알기 운동을 벌여 나갈 계획이다.

 

대책위는 지난 8월 인천시 주도로 구성한 ‘서해5도 어업인 지원 민관군 협의체’에는 불참의사를 밝혔다.

 

대책위 관계자는 “인천시가 주민들의 의견을 배제하고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했고, 협의체 역할도 수산업 분야로 축소해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서해5도 문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가 된다면 참여를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