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된 줄 알았던 유럽 최초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실낱같은 희망을 이어가게 됐다. 수원시민으로 구성된 ‘수원시 국제자매도시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평화비 건립추진위원회’가 사업 재추진 의사를 밝혔다. 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독일의 민간단체와 협력해 유럽 내 최초의 소녀상 건립을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독일 내 시민단체와 연대해 독일에 평화비를 세워 일본 정부의 몰지각한 행태를 전 세계에 고발하겠다”고도 했다.
평화의 소녀상 독일 건립 문제는 애초 단체장 사이에 약속이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시장과 수원시 시장간 합의에 의해 추진된 일이었다. 양(兩) 시의 선린 협력단이 오가며 자연스럽게 협의된 지엽적 사업이었다. 20세기 침략 역사의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공감대가 그 속에 있었다. 이렇게 순박했던 사업이 갑자기 무산됐다. 제3자인 일본의 조직적 방해가 있었고, 그 방해 주체에 프라이부르크시와 연계된 일본 자매도시가 있었다.
본보는 앞서 수원시에 강경한 대응을 요구했다. 그 대응의 방법으로 수원시가 맺고 있는 일본 자매도시와의 자매 관계 재정립을 요구했다. 현재 파견 중인 수원시 체육회의 교류 일시 중단도 동시에 요구했다. 수원시는 일본 아사히카와 시와 27년째 자매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하지만, 수원시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국제 관계의 중요성은 이해한다. 하지만, 아쉬울 수밖에 없다. 일본의 술책에 망가진 시민이 원하는 대응은 아니었다.
바로 이런 때, 수원시민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소녀상 건립의 재추진 의사를 밝히고 나섰다. 기필코 ‘유럽 대륙 최초로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고야 말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다행스럽고 위로가 되는 일이다.
국회 국정 감사에 출석한 외교부 관계자들은 소녀상 문제에 입을 다문다. ‘소녀상을 철거하기로 했느냐 안 하기로 했느냐’는 질문에 ‘문구대로다’ ‘외교 관계다’라는 애매한 답변으로 일관한다. 언젠가 공개될 외교 수사(修辭)인데 당장만 덮고 가자는 속셈이다. 수원시의 독일 내 소녀상 건립 무산이 대한민국 대사관으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들린다. 그 이유를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이에 대한 국민적 아쉬움이 대단히 크다.
그래서 더 주목된다. 수원시민들의 움직임, ‘수원시 국제자매도시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평화비 건립추진위원회’의 굽히지 않는 의지가 더욱 주목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