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A사는 러시아의 국영 석유업체인 L사로부터 석유 수입 오퍼를 받고 지속적으로 메일을 주고받다 선금의 50%를 송금했다.
하지만, 송금 이후 L사와 연락이 끊겼고, 피해 신고를 접수한 코트라 무역관이 L사의 이메일을 분석한 결과 국영 석유업체로 속인 것으로 연락처와 홈페이지 모두 가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지난 3년간 우리 기업들이 당한 무역 사기가 53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경수(더민주ㆍ경남 김해을) 의원이 코트라(KOTRA)로부터 제출 받은 국감 자료 ‘최근 3년간 우리 기업의 무역 사기 현황’ 조사를 살펴보면,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인지한 무역 사기 사례만 530건으로 집계됐다. 김 의원실은 신고되지 않은 사례까지 더하면 피해 건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별로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무역 사기가 221건으로 전체의 41.7%를 차지했다. 특히 나이지리아와 가나에서만 각각 100건의 무역 사기가 발생해 두 국가와의 무역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어 유럽(104건)과 중국(63건) 순이었다.
유형별로는 서류 위조가 12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수료 등 금품 사취 119건, 결제 관련 사기 83건, 이메일 해킹 71건 순이었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서류 위조와 금품 사취가 많았고, 선진국에서는 이메일 해킹 비중이 높았다.
김 의원은 “무역 사기의 유형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교묘해지고 있어 피해 증명과 보상에 어려움이 많다”면서 “미리 사례를 인지하고 계약 전 단계부터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물론 사전 피해 방지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