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이 달린다…관광버스 안전관리 총체적 부실

19명의 사상자를 낸 울산 고속도로 버스 화재에 이어 화성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잇따르는 등 대형버스 안전 불감증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특히 상당수의 전세버스가 다 낡은 타이어에 소화기와 비상용 망치 등 기본적인 안전기구도 비치돼 있지 않은 등 도로 위 ‘시한폭탄’으로 전락,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5일 오전 11시께 봉담~동탄고속도로 봉담방면 9.3㎞ 지점 서오산 JC 인근에서 O씨(50)의 1t 트럭이 P씨(48)가 몰던 고속버스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버스가 우측 갓길로 밀려 가드레일에 충돌했다. 승객 28명은 한동안 버스 안에 갇혀 있어야만 했고, 출동한 소방이 창문을 깨고 나서야 탈출할 수 있었다.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불이 났다면 지난 14일 1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다친 울산 고속도로 버스 참사를 그대로 재연할 뻔했다.

(사회부)관광버스안전 오 161016 (1)_R.jpg
▲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관광버스 안전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관광버스 또한 총체적인 안전 관리 소홀로 자칫 또다른 대형참사가 우려된다. 수원의 한 거리에서 심하게 마모된 타이어를 장착한 관광버스가 버젓이 운행되고 있다. 오승현기자

이처럼 버스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도내 관광버스의 안전 관리는 여전히 부실한 상태다.

16일 오후 3시께 수원시 권선구 한 관광버스 업체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 2대의 타이어를 살펴보자 이미 마모 선까지 닳아 미끄러운 상태였다. 또 1~5㎝가량의 흠집 수십 개를 비롯해 돌이나 아스팔트 조각 등 이물질이 잔뜩 끼어 있었다.

 

같은 시각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하행)에 들어온 관광버스 또한 안전 관리가 허술했다. 2시간여 동안 휴게소를 들린 11대의 버스 중 2대의 타이어가 마모선 한계까지 내려와 있었다. 버스 한 대는 위급 시 창문을 깨는 데 사용하는 비상용 망치를 비치하지 않았고, 다른 한 대의 경우 비상용 망치가 버스기사의 모자걸이로 이용됐다. 소화기도 운전석 의자 뒤편에 있어 승객들이 확인하기 매우 어려웠다. 관광버스 운전기사 K씨(48)는 “따로 교육이 없다 보니 대부분 기사가 사고 발생 시 매뉴얼이나 대처 방법 등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면서 “비상 망치나 소화기 등 안전 장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기사도 드물다”고 귀띔했다.

 

더 큰 문제는 버스 업체와 기사들의 안전불감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도내 한 버스업계 관계자는 “일부 업체는 자동차 정기 검사를 받을 때만 다른 차에서 안전 장비를 빼오거나 아예 구비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면서 “의무가 아니어서 승객에게 비상 시 행동요령이나 비상용 망치 위치 등을 안내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털어놨다.

 

이를 반영하듯 경기도가 3~6월 행락철 맞이 버스안전 종합점검을 실시한 결과, 1천529건의 위반 사항이 발견됐다. 이 가운데 1천56건(69%)은 안전벨트 불량, 소화기 미비치, 운행 전 안전점검 미실시 등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 운행’ 분야였다. 기본적인 장비조차 구비되지 않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대형버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현 버스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홍성령 교통안전공단 교수는 “버스 회사와 기사들의 안전의식 부족부터 무리한 운행 등 버스사고의 원인과 유형은 천차만별”이라면서 “안전점검부터 운행까지 대대적인 혁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번과 같은 사고는 재발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고속도로에서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버스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버스 내 탑승객 대상 안전 안내 의무화 등을 담은 ‘전세버스 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ㆍ시행한다고 밝혔다.

 

이관주ㆍ송승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