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6일 횡령과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의뢰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것과 관련해 철저한 수사를 한목소리로 촉구하면서도 온도 차를 보였다.
새누리당은 공식 입장표명 없이 ‘국민적 의혹이 수사에서 해소되길 바란다’고 발표한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성역 없는 수사와 함께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새누리당 염동열 수석대변인도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우 전 수석이 검찰에 출석하며 성실히 조사받겠다고 밝혔다”며 “늦어진 소환인 만큼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로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의혹들이 낱낱이 밝혀지고 해소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염 수석대변인은 그러면서 “검찰도 엄정하고 조속한 수사로 진상 규명에 임해달라”고 덧붙였다.
야당도 우 전 비서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압박 수위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늦어도 한참 늦었다. 우 수석이 사퇴한 뒤에야 겨우 소환했다”면서 “한 마디로 ‘황제소환’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 원내대변인은 “검찰에 출석하면서“국민과 법 위에 군림하려는 우 전 수석을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며 “늦은 만큼 더욱 철저하게 수사해 성역이 존재할 수 없다는 걸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엄정한 수사와 법 정의를 세우기 위해서도 반드시 구속 수사해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장진영 대변인도 “권력의 정점에서 인사, 사정, 모든 권력을 전횡하고 심지어 비서실장까지 무력화시켰다는 우 전 수석을 소환하기까지 길고도 긴 시간이 걸렸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장 대변인은 “수사를 지휘하는 윤갑근 특별수사팀장은 우 수석과 사법연수원 동기”라며 “검찰은 우병우 라인이 수사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검찰 출석이 너무 뒤늦은 감이 있다. 이제라도 사인(私人)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해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히고 수사에 적극 임하라”고 밝혔다.
한편, 우병우 전 수석은 본인과 부인 등이 주주인 가족회사 ‘정강’ 자금을 접대비와 통신비 등으로 쓰고 회사 명의로 빌린 고급 외제 승용차 등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