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의대 명지병원, 7~9세 ‘시력 저하’ 근시 진행 가장 빨라

안과 김대희 교수팀 ‘국민영양조사’ 기반 연구결과 논문 발표

▲ 서남의대 명지병원 안과 김대희 교수. 명지병원 제공
고양시 서남의대 명지병원 안과 김대희 교수팀은 보통 5~13세 때 진행되는 근시가 7~9세 때 가장 빨리 진행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명지병원 안과 김 교수팀이 최근 안과학회지에 게재한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년)를 기반으로 실시한 시력 검사 분석 논문’에 따른 것이다.

 

5~20세 연령대의 7천69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5(약 7년6개월)~9.1세(약 9년1개월)에 시력이 연평균 -0.46 디옵터씩 가장 빨리 나빠졌다. 이와 관련 조사대상자의 66.2%가 근시를 보였고, 5.9%의 대상자는 고도 근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7~9세 때는 눈이 성장하면서 안구의 앞뒤 길이가 가장 빨리 길어지는 시기”라며 “안구 길이가 길어지면 수정체를 통해 굴절돼 들어온 빛이 망막까지 제대로 도달하지 못해 눈이 잘 안 보이게 되고 근시가 진행된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소아에게 가장 흔한 굴절이상인 근시는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굴절이상 증세다. 근시가 심할 경우엔 안구 모양 변화로 인해 망막 변성, 망막 박리, 시신경 이상, 녹내당 등 안과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