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재단이 문화기금 운용과 지나친 사업명칭 외래어 사용 등이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을 받았다.
지난 11일 열린 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의 인천문화재단 행감에서 황흥구 위원장(새누리·남동1)은 “현재 재단에서 적립한 문화기금이 529억원인데, 현재 저금리로 이자수익이 낮아 제대로 활용하는데 문제가 크다”고 지적하며 “조례 재정을 통해 재단 사무실이 위치한 중구 신포동 일대에 건물을 매입해 다양한 문화전시공간을 확충하는데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금을 운영예산 등 단기성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부지 확보 등 자본 확충에 사용하면 장기적으로 이익을 더 낼 수 있다는 것이 황 위원장의 지적이다.
황 위원장은 또 외래어가 많이 사용되는 재단 사업명칭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재단 사업계획서를 보면 아카이빙 공간 구성, 아뜰리에 프로잭트 등 이름만 듣고는 내용이 떠오르지 않는 어려운 명칭이 많다”며
인천문화재단이 대관을 맡은 송도 트라이볼 내 비밥 상설공연장을 설치한 것에도 문제점이 제기됐다.
이강호 시의원(더민주·남동1)은 “문화공간의 장으로 조성되야 할 트라이볼 공연장이 비법 상설공연장으로 지정된 것이 문제며 보다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타 공연 대관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김윤식 문화재단 대표는 “기금 사용문제는 재단 내부에서도 현금자산을 묶어놓는 것에 문제제기가 있어온 만큼 시와 시의회와 공동으로 공청회를 열어 효율적 사용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시민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