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야자 폐지' 표현 사용 안한다

경기도교육청이 ‘야자 폐지’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야자 폐지’는 임기 후반기 이재정 교육감이 제시한 역점 사업 중 하나여서 정책적 후퇴가 아니냐는 지적도 사고 있다.

 

도교육청은 17일 ‘야간자율학습 관련 경기도교육청 입장’이라는 제목의 설명자료를 내고 “야자를 학생 선택에 의한 순수 자율학습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이번 조치는 경기도내 학생들을 획일적인 야자에서 해방시켜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해 진로를 개척하고 꿈을 찾아주는 데 목적이 있다”면서 “학교장은 학생을 비롯한 학교구성원의 의견을 수렴, 야자 실시 여부를 결정하고 학교 도서관 개방 등을 통해 순수 자율학습으로 시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 경기도의회의 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최은옥 부교육감은 “앞으로 ‘야자 폐지’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말아달라”는 도의원의 요청에 “그렇게 하겠다. 학생들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으로 하겠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도교육청의 입장은 그동안 ‘야자 폐지’에 강한 의지를 보인 이 교육감의 발언과 온도 차를 보여 도의원 등의 강한 반발에 의한 ‘사실상 정책적 후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정책상 후퇴라고 할 수 없다”며 “야자와 관련한 정책의 출발점은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로잡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방향은 그대로 가는 것이며, 다만 ‘폐지’라는 표현이 학교에 혼란을 줄 것으로 우려돼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승남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ㆍ구리2)은 “야자를 학생 선택에 의한 순수 자율학습으로 개선하겠다는 도교육청의 입장은 현재 추진 중인 ‘경기도교육청 학교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 지원 조례안’과 상통된다”며 “차후 해당 조례안까지 제정돼 교육청의 신뢰성을 뒷받침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