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연장상주단체 활동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약 120억 원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경기문화재단과 의정부예술의전당이 공동 주최한 ‘2016 경기공연예술 창작쇼케이스 심포지엄’에서다.
정상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는 지난 15일 의정부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경기도 공연장 상주단체 지원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발표했다.
그는 도내 상주단체 지원사업 예산이 약 15억 원인데 비해 경제적 파급효과는 8배 이상인 약 120억 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해 생산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 효과 등을 추정해 산출한 것이다.
또 상주단체가 있는 공연장이 없는 공연장보다 유료 관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와 차민경 성균관대 공연예술학 박사는 ‘경기도 공연장 상주단체 제도의 운영 현황과 영향’을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 따르면 상주단체 운영 공연장은 연간 평균 이용자가 15만8천542명으로 상주단체 비운영 공연장의 9만9천87명보다 5만9천455명이 더 많았다.
연간 평균 유료 관객도 상주단체 운영 공연장이 2만7천992명으로 상주단체 비운영 공연장의 2만5천950보다 2천42명보다 많았다. 상주단체 운영 공연장이 객석 숫자 대비 수입과 유료 관객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 관계자는 “검증 가능한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공연장과 공연단체의 상생협력을 도모해 문화예술계에 활력을 불어 넣고 지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원사업이 계속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