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긴장 관계 속 인천항 여객 활성화하려면 한중 상호 여행객 유치해야

한중 긴장관계가 이어지면서 인천항 여객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인천항만공사는 2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항~중국 노선을 운영하는 9개 국제카페리 선사담당자와 중국국가여유국(中國國家旅遊局) 서울지국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간담회를 열었다. 중국국가여유국은 중국의 해외관광 업무 등을 총괄하는 부서다.

 

이들은 중국 정부가 저가 단체관광객 규모를 연간 20% 가량 줄이기로 방침을 정한 이후 방한 중국 여행객이 감소추세를 보이자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다.

 

최근 인천항 여객 현황과 동향을 보면 올해 10월 기준 여객은 총 169만6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1만5천명보다는 늘어나 메르스 여파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2014년 170만4천명, 2013년 185만1천명과 비교하면 최대 8.4% 줄어든 수치다.

 

특히 국제카페리의 경우 성수기가 시작되는 7월(9만4천366명)까지는 여객이 늘었으나 최성수기인 8월(8만2천557명)에는 오히려 여객이 줄었다. 7월보다 8월 여객이 줄어든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인천항만공사와 카페리 선사들은 중국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중국 카페리선사 측과 여행사를 인천으로 초청하는 팸투어를 늘리는 한편, 국내 여행객들이 카페리를 이용해 중국 관광을 할 수 있는 단체 여행상품도 개발하기로 했다.

 

또 세월호 사고 이후 급감한 수학여행 등 단체 여행객을 유치하기로 하고,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하는 국제카페리의 안전성 등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김영국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팀장은 “감소한 인천항 여객을 회복세로 돌리려면 한중 정책당국 간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선사들과 공동으로 카페리 관광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여객 마케팅 다각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