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법무장관·민정수석 동시 사표… 기로에 선 청와대

‘대통령 피의자 입건·특검’에 부담 느낀 듯
靑 “내부붕괴·갈등 아니다”… 반려에 무게

제목 없음-4 사본.jpg
▲ 23일 사의를 표명한 김현웅 법무부 장관(왼쪽)과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 연합뉴스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고 청와대가 23일 밝혔다.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법무부 장관과 민정수석이 사의를 표명했으나 대통령의 수용 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 대변인은 “법무장관과 민정수석은 검찰의 수사결과와 관련해 도의적 책임을 느껴 사의를 표명한 것”이라며 “일부 (언론의) 내부 붕괴, 갈등 운운 기사는 사실이 아니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대통령제에서 법무장관과 청와대 민정수석은 대통령의 직무 수행과 권력 유지를 위한 두 축으로, 동시에 사표를 낸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어서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며, 박 대통령의 국정수습 행보도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김 장관과 최 수석은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으로 현직 대통령인 박 대통령이 검찰에 의해 사실상 공범 관계라며 헌정사상 처음으로 피의자로 입건되고 특검 수사까지 받게 되자 사태의 책임을 지겠다는 뜻으로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지난 21일 사의를 표명했으나 수리가 되지 않아 출근을 계속하고 있다.

 

김 장관은 “지금 상황에서는 사직하는 게 도리라고 생각해서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최 수석 역시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사의를 표하는 게 공직자로서의 도리”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최 수석은 검찰의 수사결과에 대해 박 대통령 측이 강도 높게 비난하며 대면조사를 거부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자 상당한 부담을 느낀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들의 사표 수리 여부를 놓고 상당히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의 대면조사 요구가 계속되고 특검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법무장관과 민정수석을 새로 임명하기도 어려워 반려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박 대통령이 두 사람의 사표를 즉각 수리하지 않는 것은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무언의 항의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검찰총장의 향후 거취도 시선을 모은다.

 

앞서 정연국 대변인은 지난 20일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며 객관적인 증거는 무시한 채 상상과 추측을 거듭해서 지은 사상누각일 뿐이다”며 강하게 비판했었다.

 

정 대변인은 특히 “공정한 수사와 재판을 받을 헌법상의 권리를 박탈당한 채 부당한 정치 공세에 노출되고 인격 살인에 가까운 유죄의 단정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앞으로 진행될 특별검사의 수사에 적극 협조해서 본인의 무고함을 밝히겠다는 입장이다”고 강조한 바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