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수도권 전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가금류 수출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신선 가금류 누적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7% 감소한 3천17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신선 농축산물 수출액(8억5천860만 달러) 중 가금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3%를 겨우 넘겼다.
이런 가운데 11월 중순부터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면서 수출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가금농가에서 AI 확진 판정이 나오게 되면 AI 청정국 지위를 잃게 되고 생고기 수출 또한 중단된다. 우리나라는 지난 3~4월에도 AI 사태로 청정국 지위를 잃고 홍콩 등으로의 신선 가금류 수출이 전면 중단된 바 있다.
이에 따라 가공식품 수출업체들도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열처리한 가공식품은 AI가 발생하더라도 수출 중지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국내외 소비시장이 위축됐던 과거 AI 사태 때와 비춰볼 때 영향이 전혀 없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중화권으로 삼계탕 수출을 시작한 업체들은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올 10월까지 수출한 삼계탕 규모는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6.6% 늘어난 1천709t이다. 미국(-24.9%)과 일본(-6.1%) 수출량은 줄었지만 동남아 및 중화권 수출이 급증했다. 하지만 이번에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사망자까지 낸 H5N6형으로 확인되면서 이제 막 시작 단계인 중국시장 진출 단계부터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AI 사태 때도 청정국 지위가 박탈돼 수출에 영향이 있었다”면서 “멸균 처리된 가공식품은 AI와 무관하기 때문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지만, AI가 장기화 될 경우 국내외 소비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