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특별방역기간 한달 넘도록 방역취약 구간 파악조차 안해
이달로 연기했다 결국 AI 발생 확산방지 대책도 소독 등 기본뿐
이로 인해 양주와 포천, 이천, 안성 등 상습 발생지역에서 AI로 살처분된 가금류가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무섭게 확산 중인 추가 감염 등을 감안할 경우, 살처분 가금류만 해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가 우려도 팽배한 실정이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AI가 발생한 당해연도에 살처분된 가금류만 해도 2015년도 214만여 마리를 비롯 2014년 292만8천여 마리, 2011년 234만3천여 마리, 2008년 78만3천여 마리 등으로 파악됐다.
방역당국은 AI에 대한 가축 살처분이 늘어나는 등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는 AI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지난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를 AIㆍ구제역 특별방역기간으로 지정, 운영하기로 했다.
하지만 도는 특별방역기간이 시작된 지 한 달이 넘도록 도내 방역 취약 구간 파악을 위한 현장 점검조차 진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구 축산위생연구소)는 지난해 6~7월 실시했던 대규모 산란계 농장 사육환경 및 방역관리 실태 점검을 올해에는 10월 중으로 실시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구제역 일제검사에 우선순위에서 밀려 11월로 연기됐다가 이마저도 AI가 발생하는 바람에 결국 무산됐다.
방역관리 실태 점검은 도내 5만 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대규모 산란계농장을 중심으로 주변 위험요소, 소독시설, 사육 밀도, 알 거래처, 백신 접종, 차단 방역, 청결 상태 등 18개 항목에 대해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역취약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이기 때문에 특별방역기간에 앞서 실시될 필요가 있는데도, 도는 늦장을 부리다가 실시조차 못한 셈이다.
도 동물위생시험소 관계자는 “농장들에 대한 통화 예찰 및 지도는 완료했으나 현장 점검은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 못 했다”면서도 “특정기간에 실시해야 하는 점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속수무책으로 확산되고 있는 AI에 직면, 경기도의 대처 또한 소극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충북도가 다음 달 1일부터 오리 입식 사전신고제 및 겨울철 총량 사육제를 시행하는 등 AI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는 데 반해 도는 알 이동금지ㆍ미발생 시ㆍ군 소독시설 운영ㆍ가축 이동시 사전검사 실시 등 기본적인 대응책만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