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간 이동’보다 ‘철새’ 관리가 급선무” 전문가들 한 목소리로 방역대책 수정 필요성 주장

조류인플루엔자(AI) 공포가 경기도 전역으로 퍼져 나가자 전문가들은 물론 AI 피해를 직접 겪었던 농가들까지 현재 방역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번 사태의 주범으로 꼽힌 철새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윤순영 한국야생조류협회 이사장은 “이번 AI의 주요 원인으로 철새가 지목됐다면, 철새를 먹이 등으로 유인해 이곳저곳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면서 “무조건 철새와의 접촉을 피하려고만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일부 지자체들이 철새 먹이주기 행사에 소극적인 부분을 꼬집은 것이다.

 

송창선 건국대학교 수의예과 교수도 “농장 간 이동으로 인한 감염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철새 분비물 등으로부터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급선무”라며 “정확한 역학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만큼 다양한 감염 경로를 염두에 두고 다각도로 방역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4년 AI로 수만 마리의 오리를 살처분해야 했던 한 농장 관계자도 “이번 AI는 방역을 꼼꼼히 하는 농장들까지 감염 피해를 보면서 농장주들 사이에서 현재 방역시스템은 효과가 없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며 “농가 입장에서 철새로 인한 감염까지 막을 수 없는 만큼 정부와 방역 당국이 이에 대한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