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LH 20일 루원시티 착공… 검단새빛도시도 공사 발주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 등으로 10여 년 간 진척을 보이지 못한 인천 서북부지역 도시개발사업인 루원시티·검단신도시 조성 사업이 잇따라 재추진된다.
하지만 정부의 택지공급물량 축소와 여전히 더딘 부동산 경기 회복세의 악조건 속에 개발사업 시너지 효과 보다는 마이너스 요인이 클 것이란 우려가 커 앵커시설 유치 등 사업성 회복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6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도시개발구역 지정 후 꼭 10년째 사업추진이 지연된 서구 가정동 루원시티 개발사업은 오는 20일 착공식을 열어 단지조성공사에 돌입한다. 모두 93만 3천916㎡의 사업부지에 9천666가구(2만 4천 명) 입주와 시 교육청 이전을 포함한 교육행정타운 조성을 목표로 하는 루원시티 사업은 올해 단지조성공사 착공식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주상복합용지 등 토지 매각을 본격 시행, 2018년 12월에는 단지조성공사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루원시티 사업보다 1년 이른 2007년부터 시작된 검단새빛도시 개발사업도 최근에 와서야 재추진 수순을 밟는다. 두바이자본 유치를 통한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겠다며 1년8개월의 시간을 허비한 끝에 나온 자충수다.
시와 도시공사는 이달 초 검단새빛도시 1단계 1-1공구 198만7천224㎡를 대행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기 위한 사업자 선정 입찰공고를 게시했다. 대행개발이란 공사비 대신 현물토지를 지급하고 개발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시와 도시공사는 올해 말까지 사업자 선정을 끝내고 내년 초 공사에 돌입, 정체된 검단새빛도시 사업을 단계적으로 이끌겠다는 구상을 제시하고 있다.
서로 10㎞가량 떨어진 인천 서북부지역 개발사업이 사실상 동시에 재추진되지만, 사업성 확보방안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2개 사업 모두 한국토지주택(LH)공사와 공동개발 방식이다 보니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택지 공급물량 축소라는 직격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8·25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면서 주택시장의 안정적인 관리와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기여한다는 목표로 LH의 올해 공공택지 공급량을 지난해의 58%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문제는 해를 거듭할수록 추가감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 강경하다 보니 애초 계획한 토지매각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시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인천에 최대한 공급물량을 배정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이지만, 지역 안배를 신경 써야 하는 정부가 인천의 요구를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서울과 접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 외에 뚜렷한 개발 촉진요인이 없는 것도 문제다.
루원시티는 제1경인고속도로와 개통을 앞둔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와 맞닿아있긴 하지만, 시 교육청 이전을 전제로 한 교육행정타운 조성은 당사자인 시 교육청과의 협의에 진통을 겪고 있다.
검단새빛도시 역시 태크노벨리 등 신산업 유치라는 콘셉트에도 기업유치를 위한 구체적 방안조차 마련되지 않아 서울에 가까운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관계부서와 함께 꾸린 TF팀 활동으로 사업의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며 “시 교육청과 LH 등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앵커시설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