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실패자, 경기도 특례지원으로 재기에 성공

“좌절하지 않으면, 언제든 다시 일어설 수 있다”

 

패자부활의 꿈을 꾸던 유아용품 제조업체 ㈜바룩의 류병무 대표가 경기도의 창업 실패자 재도전 특례보증을 통해 재기에 성공에 화제다.

 

류 대표는 지난 2006년 수년간 디자인 회사에서 근무했던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아용품 분야의 수출업체를 차렸다. 창업 초기 신선한 디자인으로 무장한 제품 덕분에 매출은 꾸준히 증가했고 주 거래처인 중국시장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직원 수도 대폭 늘었고 투자 규모도 커졌다.

 

하지만, 류 대표 역시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지 못했다. 중국 위안화의 가치가 폭등하면서 환율변동에 대비하지 못해 거래처는 하나둘씩 떨어졌고 자금 회전까지 막히면서 손실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결국, 류 대표는 2010년 부도를 맞고 부채를 떠안은 채 사업을 포기했다.

 

그런 그에서 다시 한 번 기회가 찾아왔다. 류 대표의 디자인 능력을 높이 평가한 지인이 투자를 제안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 류 대표는 유아용품 제조업체 ㈜바룩을 설립했고 국내와 중국에 디자인 및 상품 특허 등록을 완료하는 동시에 제조에 필요한 원부자재 구입에도 신중을 기하며 회사의 안정화를 도모했다.

 

하지만, 전 회사의 부도 여파로 개인회생을 통한 변제활동이 끝나지 않아 금융거래가 막혀 있어 유동자금 확보가 또다시 발목을 잡았다.

 

이때 손을 내민 것이 경기도의 창업 실패자 재도전 희망특례 제도였다. 류 대표는 이 제도를 통해 1억 원의 재기용 자금을 융통할 수 있었다.

 

류 대표는 “경기도의 도움으로 지금은 한국과 중국을 넘나들며 성공을 위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며 “누구에게나 시련은 찾아오지만, 지원제도가 있는 만큼 희망을 버리지 말고 재기에 도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의 창업실패자 재도전 희망특례보증은 지난 2014년 11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됐다. 총 100억 원의 자금이 우수한 기술력과 양호한 매출실적을 갖고 있지만, 신용불량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신용회복절차 진행자, 소액채무자, 재단 구상권업체, 연체정리자 등에게 1억 원 씩 지원된다.

 

사업 첫해인 2014년에는 8개사에 5억 원, 2015년에는 39개 사에 22억 원이 지원된 데 이어 올해에는 12월 현재 87개사에 46억 원이 지원됐다.

 

손수익 도 기업지원과장은 “사업에 실패했어도 기술력이 우수하거나 재기 가능성이 크다면, 도가 적극 지원하겠다”며 “새로운 도약을 위해 재도전 희망특례보증을 찾아달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