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D-day]새누리 친박-비주류, 탄핵 표결 당일까지 ‘티격태격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와 비주류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이뤄진 9일 당일까지 티격태격하는 모습을 보였다.

PYH2016120910420001300_P1.jpg
▲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오른쪽부터), 조원진, 이장우, 최연혜 최고위원 등 친박계 의원들이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

이정현 대표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 탄핵의 부당성을 강력 주장했다. 이 대표는 “탄핵에 사유가 되는 부분들에 대해서 객관적이고 명확한 입증자료나 입증된 사실이 없다는 것에 대해서 너무 잘 알 것”이라며 “일단 혐의가 있다고 하는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그리고 대통령은 이 부분에 대한 자신의 반론과 변론을 제대로 하는 기회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이 아닌 일반 사인의 경우도 법적인 조치를 받을 때 변호사를 대동하고 수없이 많은 반론과 변론을 하고 많은 조사과정을 거친 뒤에도 확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1심 판결 정도의 법원 판결 후에 그것이 죄가 있다, 없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고 주장했다.

조원진 최고위원도 오후 본회의에서 5분발언이 허용되지 않는다며, 5분발언용으로 준비한 원고를 소개하며 탄핵의 부당성을 주장했다. 그는 “국정조사와 특검이 진실과 진상규명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가 왜 지금 탄핵을 하고 있는 것인가. 무슨 의도가 있는 것인가” 반문하며 “최순실 게이트가 지금 당장 대통령을 직무 정지시키고, 헌법의 효력마저 정지시켜야 하는 합리적 근거가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 아느냐”고 말했다.

PYH2016120914140001300_P1.jpg
▲ 새누리당 비박계인 김영우 의원이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 기회를 달라며 손을 들고 있다. 비박계는 이 대표와 조 최고위원의 '탄핵반대' 공개발언 이후 비공개로 하려 하자 반발했다. /연합

반면 비주류인 국회 국방위원장 김영우 의원(포천·가평)은 “대통령이 반박을 한다든지 반론을 펼 수 있는 기회가 없었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반대 아니냐”면서 “대통령은 모든 것을 검찰 수사를 통해서 밝히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그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세 번의 담화가 있었지만 모든 잘못은 단순히 주변관리가 잘못돼 일어난 일이라고 하는 정말 현실인식이 결여된 말을 했다”며 “이것은 정말 단순한 게이트가 아니라 명확한 헌법 질서를 왜곡시키고, 국민을 도탄에 빠뜨리게 한 가장 큰 반헌법적이고, 반원칙적이고, 반법률적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법사위원장인 권성동 의원도 “이 대표처럼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 과연 새누리당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라고 비판하며 “특검수사가 안 끝났다. 재판이 진행되지도 않았다. 그게 변명사유가 되는가”라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이어 “보수의 생명은 책임감과 도덕성이다. 동료 의원이 법에 위반된 행위를 했을 때 윤리적으로 잘못된 행위를 했을 때 그것을 지적하고 합당한 제재를 가할 때 새누리당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것”이라며 “이 국면을 모면한다고 해서 새누리당이 살아 날수 있겠는가 오히려 더 큰 국민적 분노에 직면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으로 제대로 헌정질서를 지키게 되는 것이다”면서 “우리당이 살아날 길은 헌법과 법률을 지키는 것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